철근값 급등에 건설사 `휘청`

by윤진섭 기자
2008.03.03 13:06:02

시공계약 체결한 재건축 등 ''적자시공'' 위기감
공공부문 사업도 원자재값 상승 반영 늦어 발동동

[이데일리 윤진섭기자]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건설업체들의 원가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가격을 정하고 사업을 따낸 최저가 낙찰제와 사업 착공을 앞둔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경우 적자 시공도 감수해야 할 상황이다.

그러나 건설사별로 원자재를 구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구매 다변화가 쉽지 않아 이 역시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 대림산업(000210)이 시공을 맡은 서울 잠원동 한신 5차 아파트. 이 아파트는 2006년 말에 관리처분인가를 신청했고, 작년 상반기까지 이주 및 철거를 마무리짓고 사업 착공에 나설 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2006년 11월부터 전체 555가구 중 160가구가 이주를 마치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 주민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가 관리처분계획안에 반발하면서 사업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이주했던 160가구도 직접 거주하거나 전·월세를 놓는 방식으로 다시 입주한 상태다.

사업이 전면 중단됨에 따라 대림산업은 비상이 걸렸다. 철근 등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전체 공사비 상승이 불가피하지만 이를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재건축 사업은 사업계획 승인 후 시공계약을 맺고 관리처분 총회 때 조합원들로부터 추인을 받는다. 이후 이주가 이뤄지기 때문에 계약과 착공 사이에는 1년가량의 공백이 생긴다. 이 기간동안 원자재 가격 상승분은 일반분양 분양가에 반영해 해결하는 게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한신아파트처럼 착공이 늦어질 경우 늘어나는 공사비를 보전할 방안이 없다. 특히 분양가 상한제 적용으로 일반분양가를 높게 책정할 수도 없다.

대림산업은 "사업 착공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철근 등 원자재 가격이 폭등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라며 "시공계약을 맺은 조합과 재협상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이 역시도 쉽지 않아 적자 시공도 감수해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미 사업이 진행 중인 민간 분양아파트도 적자시공 위기감에 휩싸여 있다. 대형 건설사인 D사가 건축 중인 전남 광주 H아파트는 직접 공사비 288억5200만원, 철근가격 18억2000만원에 맞춰 공사비를 책정했다. 철근 가격은 t당 59만원에 조달키로 했으며, 직접공사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31%였다.
 
그러나 현재 철근가격이 t당 70만원으로 폭등(18.4%)하면서 결국 철근가격도 3억6000만원이나 올랐다. 
 
= 최저가 낙찰을 통해 사업을 따낸 공공부문도 비상이다. 대부분의 대형 건설사들은 작년에 최저가 낙찰제 공사는 물론 적격, 턴키 사업 대부분의 철근가격을 t당 50만원 대에 맞춰 계약을 체결했었다.

B사가 시공 중인 수도권 한 지하철 현장 소장은 "t당 50만원대에 맞춰 사업을 따냈는데 현재 철근가격이 t당 80만원을 넘고 있다"라며 "정부 공사의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 반영이 가능하지만 이 역시도 현실과는 동떨어진 반영이여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행 정부 발주 공사의 경우 에스컬레이션(물가 상승) 조항을 두고 있다. 그러나 건설업계는 에스컬레이션의 경우 물가 지수에 따라 가격이 조정돼 철근 가격 상승 등 개별 품목 가격 상승에 따른 공사비 인상 반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