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박지환 기자
2007.08.13 14:22:38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 지역 망 업그레이드 안돼
올해 말이나 돼야 7.2Mbps 단말기 사용 가능
[이데일리 박지환기자] 휴대폰 제조사와 이통사들이 앞 다퉈 전송속도 7.2Mbps의 단말기를 출시한다고 밝히고 있지만 전국망 구축이 안돼 정작 서울과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기능을 100% 이용할 수 없는 단말기를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입하게 만드는 과대 광고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들 업계는 7.2Mbps의 전송속도면 4메가바이트(MB) 크기의 MP3 음악파일을 4.5초 만에, 40MB 뮤직비디오 파일을 45초 만에 내려받을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는 최근 7.2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단말기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통사들까지 여기에 가세, 이달안에 단말기를 일반 소비자들이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적극 홍보하고 있다.
KTF는 퀄컴의 새 WCDMA 칩셋 탑재한 KTFT 1종(EV―W300), 삼성전자 1종(SPH―W3000), 팬택 1종(IM―U210K) 등 3종의 쇼(SHOW) 전용 단말기를 이달 말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도 이에 뒤질세라 LG전자를 통해 7.2Mbps의 데이터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위성DMB HDSPA폰(LG―SH150)을 22일 경 선보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7.2Mbps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지역이 서울과 수도권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이들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소비자들은 최신형 단말기를 고가에 구입하더라도 단말기의 제 성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현재 이통사들이 전국에 구축한 HSDPA 서비스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3.6Mbps에 불과하며 일부 지역은 1.8Mbps 수준이다.
때문에 소비자들이 60만원대에 달하는 고가의 장비를 구입하더라고 서울과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서는 기기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다.
SK텔레콤의 경우 현재 서울 시내 500개 기지국 가운데 불과 30개 국소가 7.2Mbps 다운로드 설비를 업그레이드 했다.
이 회사는 또 매년 7.2Mbps 망 운영비용으로 1500~2000억원 정도가 발생하는 점을 고려, 소비자들의 사용패턴과 니즈에 맞춰 HSDPA 서비스 용량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KTF의 상황도 비슷하다. 10월 들어서나 이 회사도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7.2Mbps의 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망 구축이 끝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방에서는 언제 7.2Mbps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지 확실치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원성도 높아지고 있다.
전국에서 동일한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업계가 소비자를 현혹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이통사 서비스 이용자는 “업체들이 전국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로 하여금 고가의 단말기를 구입하게 만드는 과장광고를 하고 있다”며 강하게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