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보리 기자
2011.01.21 12:43:00
스포츠카 카마로·콜벳, 한국 시장에 `안맞는다` 지적
GM대우가 출시할 차량, 경쟁사 대표차종과 경쟁해야
[이데일리 김보리 기자] '안 되면 조상탓'. 아주 흔한 속담이지만, 이 말은 사회심리학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귀인(歸因). 심리학에서 성공과 실패의 이유를 찾는 용어다.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 중 하나는 실패에 부딪혔을 때 그 요인을 내부, 자신의 능력이나 노력에서 찾는 경향이 높다고 한다. 반면, 외부귀인을 하는 사람들은 실패를 조상탓, 부모탓과 같은 외부 요소로 돌린다.
GM대우가 내수진작 부진이라는 실패를 돌파하기 위해 '파격 카드'를 들고 나왔다. 브랜드명에 사명까지, 심지어 올해 내놓을 차종 중 절반을 새로운 차급으로 바꾸겠다는 GM대우의 변화가 우선 눈길을 끈다. 30년 간 이어온 '대우'라는 이름을 지워내고, 차종까지 바꿔 그야말로 '분골쇄신'한다는 각오다.
GM이 독일에선 오펠, 호주에선 홀덴, 영국에서 북스홀이란 독자 브랜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GM대우의 새 브랜드 전략은 내수점유율 하락에 대한 위기감이 심상치 않음을 읽을 수 있다.
GM대우가 간판을 바꾸달면서 '새 술은 새 부대에'라는 승부수를 던진 이유는 명확해 보인다. 자체적으로 점유율 부진의 원인을 '대우'라는 브랜드로 귀인했기 때문이다.
모(母)회사인 대우그룹의 부도, 대우차의 워크아웃 등을 겪으면서 '대우'라는 이름에선 '망한 브랜드'라는 선입견이 따라오기 때문에, GM의 효자 브랜드인 '쉐보레'를 도입해 이미지부터 쇄신하겠단 전략이다. 한편으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그렇다면 라인업 재정비까지 유례없는 초강수를 둔 GM대우의 실험은 과연 성공작으로 끝날 수 있을까. 답은 아쉽게도 `글쎄올시다`이다. 변화에 대한 의지는 충분히 감지되지만 원인에 대한 진단이 뭔가 잘못됐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수출시장에서 상한가를 치는 GM대우가 유독 내수시장에서 부진했던 이유는 한국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차량을 내놓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내수시장 확대를 겨냥한 이번 GM대우 변화의 관전 포인트 역시 얼마나 한국 소비자들을 고려했냐는 것이다.
먼저, GM대우가 이미지 쇄신을 위해 내놓는 스포츠카 카마로와 콜벳을 보자. 카마로는 쉐보레 브랜드 첫 출시작으로 스포츠 머슬카다. 영화 트랜스포머의 '범블비'로 등장한 개성있는 디자인으로 마니아층의 확실한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준대형 세단인 알페온 보다 가로가 5cm나 넓은 큰 차체와 한국인 체형에 맞지 않는 내부 디자인으로 벌써부터 내수시장 판매에 대한 회의론이 제기되고 있다.
카마로의 한국 시장 출시는 아시아 시장에서 처음이다. 뒤집어 이야기하면, 북미 지역보다 도로가 좁고 주차공간이 협소한 아시아 시장에서는 아직 상품성을 인정받을 기회가 없었단 뜻이기도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