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휴대폰 `오프로드 랠리` 모델 먹혔다

by류의성 기자
2009.11.25 11:19:08

전경련, `국내휴대폰업체 글로벌 경쟁력 분석 보고서`
빠른 트렌드 파악 및 신속 대응..노키아는 `F1 포뮬러 모델`

[이데일리 류의성기자] 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 등 국내 휴대폰 업체의 `오프로드 랠리(Rally)형`사업모델이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25일 LG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국내 휴대폰 업체의 글로벌 경쟁력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한국 휴대폰업체과 노키아의 사업모델을 자동차 경기 형태에 각각 비유했다. 한국 휴대폰 사업모델이 `오프로드 랠리(Rally)`라면 노키아는 `F1 포뮬러(Fomula)`라는 것.

오프로드 랠리는 목적지까지 과정 속에 발생하는 수많은 변수를 자기관리와 체력을 바탕으로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 반면 F1 포뮬러는 초기에 노선과 인프라를 세팅을 완료해야 경기 시작 후 최고 속도로 질주할 수 있다.



즉 한국 휴대폰업체는 민첩한 트렌드 인식과 신속한 대응력이 강점이고, 노키아는 대규모 공급계약을 바탕으로 한 규모의 경제로 강한 원가우위를 가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경련은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서 한국 휴대폰사업모델이 맞아떨어진 것은 시장 니즈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한국 업체들은 터치스크린폰과 스마트폰 등 하이엔드 제품에 발빠르게 대응했으나, F1 포뮬러형을 지닌 노키아의 경우 신속한 대응에 실패했다는 분석이다. 일례로 지난 2분기 국내 업체의 터치스크린 및 스마트폰 제품 수는 61개지만, 노키아는 10개에 그쳤다.

전경련은 경제 침체의 영향도 우리나라 업체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노키아는 대량생산에 따른 원가우위를 바탕으로 신흥시장 중심의 저가폰 전략을 구사했지만 한국업체들은 북미 등 선진시장에서 고가폰에 주력해서 상대적으로 경기 여파 영향을 덜 받았다는 평가다.
 
전경련은 제품 개발전략에서도 차이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한국 휴대폰업체는 진동모터 등 핵심 부품의 내부소싱(In-Sourcing)전략으로 제품 개발 시간을 상대적으로 줄였다. 그러나 노키아는 아웃소싱(Out-sourcing) 전략을 취해 부품개발에 시간이 소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