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박기수 기자
2006.08.22 12:06:00
게임기 폐기 규모도 5조원 달할 듯
[이데일리 박기수기자] '바다이야기' 등 사행성 게임의 뒤에 자리잡고 있는 경품용 상품권 제도가 내년 4월부터 폐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른바 '상품권' 대란이 올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품용 상품권은 문화산업을 육성한다는 취지로 지난 2002년 2월 도입됐지만, 본래의 의도와 달리, 사행성 오락실을 전국에 1만5000개나 양산한 `독버섯`이 돼버렸다.
그러나 내년 4월부터 상품권이 폐지되는 것과 관련해선, 상품권 발행업체들은 물론 상품권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돼 있는 업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먼저 막대한 경제적 손실에 대한 우려가 크다. 경품용 상품권은 지난 7월말 현재 누적 유통액이 무려 30조원에 이르고, 현재 돌아다니고 있는 상품권만도 19조원에 달한다. 이를 폐지할 경우 직격탄을 맞는 것은 먼저 상품권 발행업체들이고, 사행성 성인 게임장도 고스란히 피해를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고철이 될 게임기들도 문제다. 한국컴퓨터게임산업중앙회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 100만대의 게임기가 보급돼 있고, 대당 평균 500만원으로 치면 약 5조원의 손실이 예상된다.
강대권 게임산업중앙회 사무총장은 "상품권을 보유한 게임장 업소의 줄도산이 예상된다"며 "적극적으로 반대운동을 펴나가겠다"며 강력히 반발하는 모습이다.
상품권 폐지가 과거처럼 이른바 '딱지 상품권' 등 불법 상품권을 더욱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사행성 상품권에 대해선 철퇴가 당연하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상품권 폐지로 당장에야 관련업체가 피해를 보겠지만, 장기적으로 사회 전체가 '독버섯의 그늘'에서 벗어나는 것 자체가 큰 혜택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특히 게임에 중독된 가장이 자살하는 등 사회적 폐해가 큰 상황에서 업계의 이익만을 생각해 이를 유지하는 게 적절치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지난달 당정협의에서도 이같은 취지에서 폐지한다는 입장을 내세운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