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양효석 기자
2011.06.02 11:25:00
"OS 플랫폼은 늦었다..서비스 플랫폼으로 승부수"
LBS·커머스·SNS·모바일광고 등 신사업 추진
[이데일리 양효석 기자] 스마트폰 시대에 애플·구글이 OS 플랫폼 시장을 장악하면서 이동통신사들은 지위에 흠집이 생기고 있다.
실속도 없이 단순 네트워크만 제공하는 사업자로 전락할 위기다. 때문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플랫폼 개발에 승부수를 띄었다. OS 주도권에선 밀렸지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신규서비스 플랫폼 시장만은 장악하겠다는 각오다.
◇SK텔레콤, 플랫폼 사업에 1조원 투자
지난해 10월, SK텔레콤은 플랫폼 사업 성과물을 놓고 혹독한 자기비판을 했다.
멜론·싸이월드·모네타·NTVi(TV포털)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먼저 출시했지만, 꾸준한 투자와 육성이 뒷받침되지 못했다는 것. 신규서비스는 나왔지만 에코시스템 부족으로 글로벌화를 이끌지 못한게 가장 큰 실패원인으로 지목됐다. 때문에 플랫폼이 태동하는 시대에 SK텔레콤의 시장지배력은 감소했다.
당시 정만원 SK텔레콤 사장은 "우리는 2000년부터 플랫폼 사업의 가능성을 예측하고 준비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만큼 성과를 올리지 못했지만, 비슷한 시기에 플랫폼 사업을 시작한 애플·구글은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했다"면서 "미리 예견하고 준비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것을 반성한다"고 토로했을 정도다.
이에따라 SK텔레콤은 향후 3년간 1조원 이상을 투자해 플랫폼 서비스를 키우겠다고 공언했다. 올해 새롭게 부임한 하성민 총괄사장도 "올해 주요관심사는 SK텔레콤의 전략방향 수정이 아니라, (지금까지 세웠던 전략에 대한)성과를 조기에 가시화 시키는 것"이라면서 플랫폼 사업에 열중할 것임을 시사했다.
특히 SK텔레콤은 10월께 이러한 플랫폼사업을 진행할 조직을 분사시킬 예정이다. 기존 무선통신 영역과 분리시켜, 신사업을 제한없이 추진시키겠다는 생각이다.
SK텔레콤은 서비스플랫폼 성공을 위해선 에코시스템 확대를 위한 개방성이 중요하다고 보고, T맵·T스토어·문자메시지 등 시장내에서 경쟁력을 가진 서비스들의 기반기술(API)을 공개해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으로 키워가기로 했다.
대표적인 플랫폼 육성분야는 위치기반서비스(LBS), 커머스, 메시징, 콘텐츠유통,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B2B, 범용플랫폼 등 7개다.
LBS 분야는 T맵이 대표적이다. 또 커머스는 모바일 페이먼트, 메시징은 네이트온, 콘텐츠유통은 멜론·T스토어·TV포털, SNS는 싸이월드 등이 대표 서비스들이다. B2B에선 헬스케어·카인포테인먼트·e러닝, 범용플랫폼에선 모바일광고·개인화 엔진 등을 육성시키기로 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그동안 서비스플랫폼 하면 구글과 애플을 경쟁자로 생각했지만, 앞으로는 강력한 서비스플랫폼 사업자가 태동할 것이며 SK텔레콤이 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애플·구글 등 글로벌 플레이어가 선점한 레드오션이 아니라, 아직 경쟁이 촉발되지 않은 미개척지를 개발하겠다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