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준기 기자
2011.03.31 09:50:40
[창간기획 코리아 3.0 4부]
금융기관, 사회공헌활동에 열중..`경쟁시대` 맞이해
사회공헌 매년 증가세..그러나 정부에 등떠밀려 `지적`
협회 중심 활동 늘리고 NGO 등과 손잡아야 `시너지`
[이데일리 이준기 송이라 기자] 국내 금융회사들에게 사회공헌활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이 됐다. 회사 브랜드 가치를 고려해야 하는 만큼 높은 수준의 윤리의식을 요구하는 고객의 눈높이를 신경쓰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공공재 성격이 강한 은행권의 경우 사회적 책임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매년 금융기관의 사회공헌 지출급액은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보이지 않은 요구에 등 떠밀려 `억지 사회공헌`에 나선다는 지적은 여전하다. 질 높은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위해 개별기관이 아닌 협회 차원의 협력 구조를 만들고 비영리단체(NGO) 등과도 손잡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번 일본 지진 피해 지원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금융권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적이다. 사실상 `사회공헌 경쟁시대`를 맞이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A금융기관이 사회공헌에 참여하면 B, C, D금융기관도 서로 달려드는 형태다.
지속가능경영 컨설팅 회사인 라임글로브의 최혁준 대표는 "은행들의 사회공헌활동은 2000년대 중반부터 꾸준히 이어졌고 순이익의 2~2.5% 가량을 지출하고 있다"며 "이미 사회공헌 분야에서는 자리를 잡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금융회사들은 사회공헌이 당장 막대한 돈을 지출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판단하고 있다. 다시 말해 사회공헌으로 회사의 평판위험 관리를 자연스레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기관은 돈과 관계된 일을 하기 때문에 투명성과 윤리성을 중요시하는 요즘 고객들의 인식이 크게 작용하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고객들이 금융상품의 장단점과 함께 해당기관의 사회적 책임까지 따지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영국의 소비자 협동조합은행인 `더 코퍼러티브 뱅크(The Co-operative Bank)`는 무기거래, 동물 임상실험 등 비윤리적 사업에 대한 투자를 거부한 적이 있다. 이를 통해 윤리 은행이라는 이미지를 얻게됐고 이러한 평판은 수익성 강화로 이어졌다. 아메리칸 엑스프레스(아멕스) 카드도 수수료의 일정액을 기금을 조성, 미국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을 유지·보수하는 활동을 펴면서 시장점유율이 늘어나는 효과를 봤다.
국내 금융회사들은 2000년대 중반부터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치밀한 연구에 나섰다. 과거와 같은 천편일륜적인 기부 형태를 벗어나기 위해 분명한 목표와 체계를 만들고 한 단계 높은 수준의 프로그램을 짜기 위해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