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탄소감축…원전 재개까지 빈자리, 풍력이 채울까

by함정선 기자
2022.06.01 15:01:31

정부, 해상풍력 적합입지 사업 등 나서
새정부, 국책과제에 풍력 산업 활성화 방안 담아
수년간 역성장 보인 풍력에너지 확대 기대
국내 제조·부품사 수익 확대 기대되나
해외 업체 점유율 높아…기술·경쟁력 확보 지원해야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정부가 해상풍력 적합입지 발굴사업 지역을 선정하고, 새 정부가 국책 과제에 풍력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지원 강화를 포함시키며 국내 풍력 에너지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등 다른 재생에너지와 달리 최근 몇 년간 감소세를 보여왔던 풍력 에너지 시장 역시 성장세로 돌아설 수 있으리라는 전망이 나온다. 시장 확대에 따라 두산에너빌리티와 현대일렉트릭, 씨에스윈드와 같은 국내 부품, 제조사들의 수익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해상풍력 적합입지 발굴사업’ 지역으로 인천광역시와 군산시 등을 선정하고 국비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또한 제주도는 해상풍력발전사업인 ‘한동·평대 해상풍력사업’의 민간사업자 공모절차에 돌입했다.

풍력 에너지는 탄소중립을 위한 필수 재생에너지로 손꼽힘에도 국내에서는 역성장세를 보여왔다. 실제로 국내 풍력 설치량은 2017년 106MW에서 2019년 191MW까지 증가했으나 2020년 160MW, 2021년 66.6MW까지 감소했다. 탄소중립 기조 확대에도 풍력 에너지가 이처럼 역성장한 것은 환경 규제와 주민의 반대 등 걸림돌이 많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새 정부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기존대로 유지하기로함에 따라 재생에너지 확대 필요성이 커진 만큼 풍력 단지 설치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엇보다 새 정부가 집중하고 있는 원전의 경우 건설을 재개하기까지 최소 2~3년의 시간이 걸리는 만큼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정부가 풍력 단지 확대에 적극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풍력 에너지의 경우 비교적 단기간에 대규모 단지 건설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해상 풍력은 육상풍력이 지닌 지형적 제한이나 환경, 소음 문제 등으로부터 자유롭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탐라해상풍력 발전단지
관련 기업들도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대비에 나서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 최초로 8MW급 풍력발전기를 개발해 실증을 진행 중이다. 이르면 올해 말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풍력발전은 터빈의 블레이드(풍력발전기의 날개) 크기가 클수록 발전효율과 발전량이 증가하는데, 대형 터빈이 상용화된 유럽과 달리 국내는 3~5MW 개발에 그치고 있다.

이에 현대일렉트릭은 GE리뉴어블에너지와 12~15MW급 해상풍력 터빈 제작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풍력 터빈 국산화를 위해 협력하는 한편 정부 주관 발전 사업 프로젝트에도 함께 참여할 계획이다.

풍력타워 업체인 씨에스윈드와 하부구조물을 제조하는 삼강엠앤티는 신공장 증설을 통해 생산량을 확대하고 있다.

씨에스윈드는 최근 터키 제2공장 증설을 마쳤으며, 추가 해외 공장 증설도 검토하고 있다. 삼강엠앤티는 삼호조선해양으로부터 165만2892㎡(50만평)의 신공장 부지를 조성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으며 증권가에서는 올해 신공장 설립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풍력 시장에서 국산 제품의 점유율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정부의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풍력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구축된 풍력발전기 중 53.6%는 해외 제품이다. 민간발전사 입장에서는 전력 생산량이 많고 고장이 적은 해외 제품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풍력 업계 관계자는 “막대한 사업비를 투자해 기술개발을 해야 하는데 그간 풍력 단지가 제대로 조성되지 않아 이를 버틸 국내 기업이 많지 않았다”며 “정부가 투자와 정책 등으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편 풍력 단지 조성을 활성화해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