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4만 적자가구, 연 4600만원 벌어 4500만원 빚 상환

by박철근 기자
2022.05.08 16:19:13

금융연구원 “전체 가구 17.2%는 적자가구”
금리상승·인플레이션 등 우려…“가계 차원 자구노력 필요”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국내 적자가구는 연 4600만원을 벌어 빚(원금+이자)을 갚는데 4500만원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소득의 대부분을 빚을 갚는데 사용하다보니 필수 소비지출 등을 또 다시 빚을 내 사용할 수밖에 없는 가구가 전체의 17.2%인 것으로 조사됐다.

노형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8일 ‘가계 재무상태가 적자인 가구의 특징과 개선방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전체 2052만 가구 중에서 17.2%인 354만 가구가 적자가구”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적자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4600만원으로 이중 4500만원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한다. 이외에도 필수 소비지출은 2400만원이며 이자 외 비소비지출은 900만원으로 나타났다. 1년에 3200만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셈이다.

노 연구위원은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흑자가구가 0.7배인데 비해 적자가구는 1.6배”라며 “채무이행 부담을 보여주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도 적자가구와 흑자가구가 각각 1.4배, 0.1배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들 적자 가구의 18.6%(66만 가구)는 세입자로부터 전월세보증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보증금은 2억1000만원에 달했다. 노 연구위원은 “전셋값이 하락하는 경우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는 것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며 “취약가구의 임대보증금이 경제충격 파급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득대비대출비율(LTI)이 높은 가구는 적자 가구의 61.5%를 차지했다. 이들의 평균 부채는 다른 가구들보다 4배가량 높은 4억원에 달했다. 노 연구위원은 “소득이 지출에 미치지 못해 빚으로 적자를 메우고 있다면 문제로 높은 LTI를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적자 가구의 원인인 높은 LTI 문제를 해소하고 가계부채를 통제하려면 LTI에 상한을 두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영국의 경우 LTI가 4.5배를 넘는 주택담보대출은 신규 취급 건수의 15%를 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노 연구위원은 “담보인정비율(LTV)이 낮게 유지되더라도 소득 대비 집값이 급등하면 결과적으로 LTI가 높아질 수 있다”며 “LTV 규제를 보완하기 위해 LTI 상한을 보조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물가 상승과 금리 상승으로 흑자 가구의 가계 재무상태도 취약해질 수 있어 자구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