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봄학교, 불안한 출발…시행 학교 22% “인력·공간 부족”

by신하영 기자
2024.03.12 10:00:00

전교조 실태조사 결과…611개교서 불만 사례 접수
사례 접수 54% 학교서 “늘봄강사 없어 교사 투입”
기간제 교사 투입하려도 “공고 내도 안 와” 94건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초등학생 자녀를 최장 저녁 8시까지 학교에서 돌봐주는 늘봄학교가 1학기 전국 2741개교에서 운영 중이지만 출발부터 불안한 모양새다. 늘봄학교 운영 학교 중 22%에 달하는 학교에서 불만 사례가 접수됐기 때문이다.

지난 5일 서울 마포구 아현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늘봄학교 음악교실 수업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이러한 내용의 1학기 늘봄학교 실태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일부터 11일까지 늘봄학교 운영 2741개교를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22%인 611개교가 조사에 참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50%다.

교사들은 늘봄학교에 투입할 강사가 없어 교사가 직접 늘봄 프로그램을 맡는 등 인력·공간 부족을 호소했다. 전교조는 이번 실태조사에서 △교사를 늘봄 강사로 투입해 수업 준비에 차질 △공간 부족으로 교육과정 운영에 악영향 △무분별한 기간제 교사 채용으로 혼란 △각종 민원 증가 등의 불만 사례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실제로 1학기 늘봄 프로그램을 맡은 인력 중 교사가 53.7%를 차지했다. 이어 강사(방과후·예술 강사)가 39.5%, 교육공무직(돌봄전담사 등) 6.8% 순이다. 접수된 사례 중 교원(교감·교사)에게 늘봄 행정 업무를 부과한 학교도 89.2%에 달했다. 교사는 늘봄 업무와 분리되도록 하겠다는 교육부의 공언이 현장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박성욱 전교조 정책실장은 “특히 강사 인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도서·벽지 학교가 많은 지역일수록 늘봄 운영에 교사가 투입되는 사례가 다수 접수됐다”며 “교사들은 수업 후 곧바로 늘봄 프로그램에 투입되면 다음 날 수업 준비도 불가능하다고 호소했다”고 지적했다.



교육부는 2학기 늘봄학교 전면 시행 전인 이번 1학기를 과도기로 정하고 기간제교원 2250명을 각 시도교육청에 배정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선 기간제 교사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문제를 지적한 사례 116건 중 81%(94건)는 ‘채용 공고에 지원한 기간제 교사가 없었다’고 응답했다. 아직 ‘기간제 교사 정원을 배정받지 못해 채용을 못했다’는 응답도 19%(22건)를 차지했다.

늘봄학교 시행으로 인한 공간 부족 문제도 제기됐다. 박성욱 실장은 “현장 교원들은 교실을 늘봄 공간으로 활용할 경우 별도 업무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학교 복도에서 업무를 할 때도 있었다며 공간 부족으로 인한 근무 여건 악화를 호소했다”고 했다.

이번 조사에 응한 한 교사는 “공간 부족으로 1학년 교실을 늘봄교실로 사용하는 바람에 학생 보충 지도를 할 수 없었다”며 “과학실·도서관 등 특별실을 늘봄 공간으로 사용하기 위해 특별실 활용 수업을 축소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전교조는 “학교에 모든 책임과 업무를 떠넘기는 늘봄학교는 돌봄의 공공성도, 교육의 질도 담보할 수 없다”며 “교사와 학생 모두 숨 쉴 틈 없게 하는 늘봄학교를 중단하고, 현장의 우려를 해소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저출산 완화를 위해 늘봄학교 시행의 필요성을 지지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늘봄학교 지지 범시민 교육 연합은 지난 8일 설명을 내고 “늘봄학교의 완벽성만 기하다가는 사교육 뺑뺑이로 인한 사교육비 과중에 학부모들은 안심할 수 없게 된다”며 “부족한 여건만 탓하기보다는 시작 가능한 조건부터 따져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