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보급만으론 한계”…‘공급기업’ 집중 육성한다

by김경은 기자
2024.10.02 08:25:34

중기부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 방안’
스마트공장 보급 정책에 기업 숫자 늘었지만
기술 수준 낮아 스마트제조 산업 성장 미흡
3년 내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500개 지정·육성
7대 분야 기업에 기술·금융·판로 등 맞춤 지원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정부가 중소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제도를 신설한다. 그동안 정부의 스마트제조 산업 육성 전략이 스마트공장 보급에 그쳤다면 앞으로는 스마트공장을 설계·구축하는 기업을 키워 생태계를 고도화하겠다는 복안이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2일 최상목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스마트제조 혁신 생태계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제도를 도입해 2027년까지 500개사를 지정하고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는 게 골자다.

중기부는 중소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2014년부터 스마트공장 보급을 지원해 왔다. 그 결과 스마트공장 수는 2014년 277개사에서 지난해 3만 2662개사로 증가했다.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수도 2016년 299개사에서 현재 2460개사로 8.2배 늘었다. 하지만 미국, 유럽 등 선도국가 대비 기술 수준이 낮아 스마트제조 산업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중기부는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중소기업의 기술수준을 현재 78.8%에서 84.4%로 5%포인트 이상 상향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스마트제조산업의 정의를 새롭게 마련하고 4대 영역 7대 전략분야를 설정했다. △자동화기기(식별시스템·머신비전 분야) △연결화기기(통신네트워크 장비, 제어·컨트롤러 분야) △자동화솔루션(생산관리시스템, 물류관리시스템 분야) △지능화서비스(디지털트윈, 제조 빅데이터·인공지능 분야) 등이다.

중기부는 2027년까지 이 분야에서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500개사를 지정하고 글로벌 진출 전문기업 200개사를 육성할 방침이다. 선정된 기업에는 △창업 △기술 △인력 △금융 △판로·해외진출 등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해당 기업이 정부 사업 참여 시 가점을 부여하고 사업절차 간소화, 사후관리 의무 완화 등 경영 편의도 제공한다.



특히 금융 분야에서는 정책자금 지원은 물론 민간은행과 협업을 통해 저리 대출 지원에 나선다. 스마트제조 관련 신기술 분야 벤처·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제조혁신벤처펀드’도 조성해 원활한 자금조달을 지원한다.

기술 분야에서는 500개 핵심장비 데이터를 표준화해 기업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일·유사 업종의 제조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을 위해 기업 간 공동 연구개발(R&D)을 활성화한다.

제조데이터 활용 기반도 확충한다. 500개 핵심장비 표준 제조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장과 기업이 필요 데이터를 공유·교환할 수 있도록 업종별 데이터커넥터를 개발·보급한다. AI 및 데이터 기반 ‘스마트제조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스마트공장 업무 지원 체계도 마련한다.

역량이 부족한 지역기업의 불량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특화 제조AI센터’를 설치·운영한다.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스마트제조산업 정책협의회’도 구성해 정책 의제를 도출할 계획이다.

오 장관은 “이번 대책은 중소제조업에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을 넘어 스마트제조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육성하기 위한 미래 청사진을 제시한 게 핵심”이라면서 “대한민국이 초일류 제조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제조산업 각 분야의 균형있는 발전과 지원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지정과 육성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 다수 배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