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진대피소 수용인원 턱없이 부족"

by한정선 기자
2016.10.03 14:25:05

"서울시 주민등록인구의 7%, 유동인구 2%밖에 수용 못해"

경주실내체육관 입구에 당국이 최근 설치한 지진 발생 시 10가지 행동요령이 붙어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한정선 기자] 서울시 지진대피소의 수용인원은 64만명으로 서울시 주민등록인구의 7%, 유동인구의 2% 밖에 수용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김정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지진대피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진발생시 대피소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시 자료에 따르면 관내 538개 지진대피소에 수용가능 인구는 약 64만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별로 관악구의 수용 가능인구는 3158명으로 관악구 주민등록인구 50만명의 1%도 수용하지 못하는 규모다. 지진대피소가 유동인구의 1%도 수용하기 어려운 곳은 중구, 종로구, 양천구, 구로구, 관악구로 드러났다.



특히 종로구와 중구는 서울시 도심으로 주간 지진 발생시 대피소가 매우 중요한데 수용인원이 종로구는 2076명, 중구는 1만 7103명에 불과했다.

시가 지난해 10월에 제작한 ‘지진재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 따르면 ‘지진재난 경보 발령 및 지정된 대피소로 피해지역 주민 긴급 대피 유도’라고 돼 있는데 정작 대피소가 부족한 것이다.

김 의원은 “서울시는 상주인구, 유동인구를 감안하면 주민들이 긴급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가 매우 부족하다”며 “시가 지진대피소 확충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공원·광장 등 안전한 대피가 가능한 곳을 추가해 서울시 지진 대피공간을 확대할 것”이라며 “시민들이 생활권 주변의 열린공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대피요령·장소 등을 적극 홍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