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출토 조선 중기 女 복식,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by김은비 기자
2021.06.02 09:43:57

미라 2구와 함께 발견된 유물
여성 복식·장례 풍습 잘 드러내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문화재청은 조선시대 중기 여성의 복식 문화와 상·장례 풍습을 파악할 수 있는 ‘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출토복식(총 96건 124점)’을 2일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했다.

오산 출토 구성이씨 전단후장형쌍스란치마(사진=문화재청)
구성이씨·여흥이씨 묘는 2010년 5월 경기도 오산 가장산업단지 공사 현장에서 발견됐다. 당시 조선 시대 회격묘(관 주변을 석회로 채운 묘) 3기가 나란히 확인됐다. 그중 2기의 묘에서 여성 미라 두 구와 많은 유물이 출토됐다.

나머지 1기가 두 여성의 남편 묘로 짐작됐지만, 훼손 정도가 심해서 주인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두 개의 묘에서 출토된 명정(장례 시 죽은 사람의 신분을 밝히기 위해 품계, 성씨 등을 기재해 상여 앞에서 길을 인도한 뒤 관 덮개에 씌워서 묻는 기)에 따르면, 묘의 주인공들은 조선 시대 한 사대부 남성의 첫째 부인(구성이씨)과 둘째 부인(여흥이씨)으로 추정된다. 작고 당시의 남편의 관직 품계가 각각 9품, 6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구성이씨와 여흥이씨의 묘는 무연고라는 한계점은 있다. 발굴기관, 복식 전공자, 병리학 연구자 등 전문가에 의해 유물 수습과 보존처리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점에서 가치가 높다고 문화재청 측은 설명했다.

조사를 통해 확인된 ‘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출토복식’에는 총 96건 124점(구성이씨 41건 51점, 여흥이씨 55건 73점)에 달하는 다량의 유물이 포함돼 있다. 이는 임진왜란(1592년) 이전 16세기 중후반 양반 가문 여성의 다양한 복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희소성이 높고, 조선 시대 여성의 염습 과정 등 전통 장례 방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시신의 머리에 쓴 상태로 출토된 ‘가리마’는 기록으로만 전하던 여성용 쓰개(모자)의 착용 방법을 실제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 △남성의 관복처럼 목선이 둥근 형태인 ‘단령형 원삼’은 원삼의 초기 모습을 연구할 수 있다는 점 △치마의 앞부분을 접어서 앞은 짧고 뒤는 길게 만든 ‘전단후장형 쌍스란치마’는 임진왜란 이전 시기에만 확인되는 복식으로 희소성이 높다는 점 △실용적인 생활소품이자 장신구로서의 역할을 겸비한 ‘자수바늘집노리개’는 보존상태가 좋아 세부 장식이 그대로 남아있어 당대 자수 기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학술적으로 가치가 탁월하다고 인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