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거부하는 터키, 중국과 손 맞잡을까

by정다슬 기자
2018.08.19 17:30:43

中공상은행, 터키와 38억달러 금융협정 체결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 [사진=AFP 제공]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미국의 제재로 경제 전반이 휘청이고 있는 터키가 국제금융통화기금(IMF)을 외면하고 중국과의 거리를 급속도로 좁히면서 국제적인 외교지형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19일 IMF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터키의 대외부채는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53%를 넘어섰다. 도이체방크는 외채 비중을 이보다 높은 70%로 보고 있다. 리라화 가치가 하락할 수록 이같은 적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

경제를 안정시킬 긴급 소방수의 역할이 절실하지만 터키 정부는 IMF 등의 지원을 강력하게 거부하고 있다. 베라트 알바이라크 재무장관은 지난 16일 6000여명의 국제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컨퍼런스콜에서 이날 IMF에 대한 지원 요청 가능성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일축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 역시 IMF로의 지원 요청은 “정치적 주권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터키가 IMF로의 지원 요청을 거부하는 것은 내정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다. IMF는 경제적 위기에 빠진 나라에 재정건전화 등을 조건으로 자금을 빌려준다. 결국 여기에는 긴축 재정, 세금 인상 등 국민들의 고통이 따를 수밖에 없다.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며 재정 확대를 통해 경제성장을 유도하고 더 나아가 대통령 연임을 목표로 하고 있는 에르도안 정부로서는 치명타다.

미국이 IMF에 미치는 절대적인 영향력 역시 터키로서는 껄끄러운 요소다. 미국은 IMF의 최대 출자국이다. 최근 외환보유고가 바닥난 파키스탄이 IMF에 지원 요청을 하려고 하자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IMF의 자금이 중국의 빚을 갚는 데 쓰여서는 안 된다”며 제동을 건 것이 대표적이다.



게다가 IMF 모델기반에는 미국식 시장경제체제를 개발도상국의 발전모델로 삼도록 하자는 워싱턴 컨센서스(Washington consensus)가 존재한다. 미국과의 갈등으로 경제 위기에 빠진 국가로서는 달갑지 않은 동아줄이다.

이런 터키에 대신 구원투수로 나선 것은 중국, 러시아 등 이른바 미국의 대항마로 불리는 국가들이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최근 공상은행은 터키와 38억달러에 달하는 금융조달 협약을 체결했다. 루캉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터키가 일시적인 경제적인 어려움을 극복할 능력이 있다고 믿고 있다”며 “쌍방기업이 시장의 원칙에 따라 연관 합작항목을 체결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문제의 본질을 외면한 채 또 다른 나라에 기대되는 방식은 결국 위기를 키울 뿐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일본 경제신문 닛케이신문은 “IMF에 의존하고 싶지 않은 국가에게 중국의 지원은 매력적이겠지만 이는 결국 경제 구조의 모순을 해결하지 못하고 채무만 부풀리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