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미세먼지 보다 무서운 흡연'...성공률 높이는 금연치료법은?

by이순용 기자
2015.02.24 09:32:34

금연프로그램 활용하면 성공률 10배 이상 높아져...25일부터 건강보험 실시되면 비용 부담도 줄어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영업직에 종사하고 있는 A씨(42)는 지난 연말 건강검진에서 폐기종과 기관지확장증 소견이 발견된 후 22년 동안 매일 한 갑씩 피웠던 담배를 끊기로 했다. A씨는 보건소에서 지급 받은 금연 패치를 활용하며 흡연 욕구를 조절해 왔다. 하지만 업무상 술자리가 잦았고, 흡연을 권유 받는 일도 잇달았다. 지속적인 금단증세로 스트레스를 받던 A씨는 끝내 지난 주 담배 한 대를 피웠고, 금연에 실패했다는 생각으로 담배를 다시 구입해 피우고 있다.

◇금연, 의지만으로는 부족

2월 들어 ‘금연포기자(금포자)’가 속출하고 있다. 금연을 신년계획으로 삼았던 이들이 금단증상에 시달리다 끝내 담배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는 첫 고비가 2월이다. 금연 포기자들에게는 “의지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쏟아지곤 한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유태호 과장은 “흡연 상태는 니코틴 중독에 의한 일종의 만성 질환”이라며 “의지만 갖고 시작했다가는 실패 확률이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의료기관에 설치된 금연클리닉은 가정의학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안전성과 성공률을 모두 제고할 수 있다. 우선 니코틴 의존도 테스트를 실시해 대상자에 적합한 금연 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경우 호기 일산화탄소, 소변 코티닌 등의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준비기간을 거쳐 1~2주 이내에 완전 금연 기간에 돌입하는데, 약물이나 보조제의 도움을 받기 때문에 금단 증상에 대한 부담감은 비교적 덜하다.

금연치료에는 바레니클린 처방이 일반적이만 의료기관 내 금연클리닉에서는 보다 섬세한 처치가 시행된다. 흡연자의 상태에 따라 항우울제인 부프로피온을 처방하기도 하고, 여성 흡연자에 적합한 금연프로그램도 마련된다. 올해 들어 1대 1 여성금연치료를 도입한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유태호 과장은 “흡연 자체가 비밀인 여성들은 금연클리닉을 방문하는 것조차 어렵다”며 “보안이나 임신 등 건강문제를 고려해 의료기관 내 금연클리닉을 찾는 분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금연 프로그램은 대부분 8~12주 이내에 종료되지만 흡연기간이 길고 흡연량이 많은 헤비스모커는 24주까지 이어질 수 있다. 1년에 2회까지 치료 비용을 지원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금연프로그램을 충실히 이행한다면 금액 면에서 부담을 느낄 필요는 없다.



본인 의지만으로 시도하는 일반적인 금연성공률이 5%에 미치지 못하는 반면 금연클리닉을 통해 금연에 나서면 10배 이상 성공률이 높아진다는 통계가 있다. 금연 치료 전문 주치의인 유태호과장을 중심으로 다년간에 걸쳐 금연프로그램 운영 노하우를 쌓아온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금연클리닉은 내원자의 금연성공률이 70~80%에 달한다.

유태호 과장은 “탄탄한 협진시스템과 환자와의 밀착된 관계가 높은 성공률의 비결”이라며 “(금연클리닉을 선택할 때) 금연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 있는지, 금연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어떤지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한 요소”라고 조언했다.

◇ 병원 종류 관계없이 비용은 같아

오는 25일부터는 의료기관 금연프로그램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이 본격화 돼 비용 부담도 준다. 상담료와 금연치료제 및 보조제 금액의 30~70%를 지원 받을 수 있다. 금연보조제인 니코틴패치, 껌, 사탕 등은 양에 상관없이 하루 1,500원이 지원되며 대표적 금연치료제 챔픽스(성분명: 바레니클린)에듀 1정 당 1,000원(1일 2,000원)의 지원금이 지원된다. 금연치료에 흔히 처방되는 항우울제 웰부트린(성분명: 부프로피온) 역시 1정 당 500원(1일 1,000원)이 지원된다. 당초 15만 원에 육박하던 약값이 건강보험 적용 이후에는 5만 원 정도로 줄 전망이다.

현재 전국 3,400여 개 금연치료 의료기관이 보건 당국에 등록돼 있다. 한의원을 포함한 병?의원부터 종합병원까지 금연클리닉 개설 의료기관은 다양하지만, 상담을 포함한 치료 비용에는 차이가 없다.

유태호 과장은 “흉부 촬영이나 저선량 흉부 CT등의 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 의료 인프라를 살펴봐야 한다”며 “흡연이나 금연에 동반되는 건강상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연 치료 전문 주치의 도움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