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어스온, 남중국해 해상광구에서 원유 생산…일 3만배럴 규모

by박순엽 기자
2023.09.25 10:03:13

남중국해 북동부 해상 광구…9월부터 원유 생산
2015년 ‘광구 운영권’ 확보 이후 개발 단계 거쳐
“석유개발·CCS 투자 지속해 탄소 중립·성장 달성”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SK이노베이션(096770)의 자원개발 자회사인 SK어스온이 지난 2015년 참여한 남중국해 해상 광구에서 원유 생산을 시작한다. 이는 SK어스온이 운영권을 확보한 광구 중 실제 원유 생산에 성공한 최초 사례로, 자원 확보를 통한 국내 에너지 안보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된다.

SK어스온은 25일 남중국해 북동부 해상에 있는 17/03 광구 내 LF(Lufeng)12-3 유전에서 9월부터 원유 생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17/03 광구는 중국 선전시에서 약 300킬로미터(km) 떨어져 있으며 크기는 여의도 면적의 15배에 달한다. 일일 생산량은 석유 생산 정점(Peak Production)을 기준으로 약 2만9500배럴로, 이는 국내 하루 석유 소비량의 1%를 넘는 규모다.

중국 17/03 광구에 설치된 원유 생산 플랫폼과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 설비 (사진=SK어스온)
앞서 SK어스온은 지난 2015년 중국 국영 석유회사인 CNOOC(중국해양석유집단유한공사)와 광권 계약을 체결하면서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남중국해 해상 광구 사업에 뛰어들었다.

독자적인 광구 운영권을 확보한 이후 지질조사, 물리탐사 등 기초탐사 작업을 통해 2018년 탐사정 시추에서 원유 발견에 성공했고 생산준비를 위한 유전평가, 생산시설 건설 등 개발 단계를 거쳐 마침내 원유 생산에 이르게 됐다.

이번 원유 생산은 독자적인 운영권 탐사사업에서 원유를 발견하고 개발, 생산까지 이어진 최초 사례다. SK어스온은 자체 기술력을 통해 초기 탐사에서부터 이번 생산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특히 SK어스온은 원유 생산 단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고자 설계 시점부터 발전기 배기가스 폐열 재활용, 설비 전동화 등을 생산시설에 도입했다. 또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추진 선박 도입, 신재생에너지 동력 사용 등도 검토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를 적용해 이산화탄소 저감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17/03 광구는 정부 에너지 융자 지원사업의 성공 사례이기도 하다. 정부는 국내기업의 해외 자원개발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1984년도부터 자원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융자 지원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17/03 광구의 생산이 시작되면 SK어스온은 정부로부터 받은 융자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게 되며 원리금 상환이 완료된 후엔 특별부담금의 형태로 일정 기간 이익금 일부를 정부와 공유한다.

중국 17/03 광구 내 LF 12-3 유전 위치 (사진=SK어스온)
중국 17/03 광구에 설치된 원유 생산 플랫폼 (사진=SK어스온)
SK어스온은 2021년 SK이노베이션에서 분사한 이후 석유개발사업과 그린 사업의 두 개의 축을 기반으로 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1983년 인도네시아 카리문 광구 지분 참여를 통해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해외 자원개발에 뛰어든 바 있다. 현재 SK어스온은 8개 국가에서 10개 광구, 4개의 LNG 프로젝트에 참여·관리를 하고 있으며, 10개 광구의 생산량은 일일 약 5만2000배럴(석유환산기준)이다.

그린 사업 영역에서는 석유개발을 통해 축적한 탐사 기술을 기반으로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탄소 포집 및 저장) 사업을 추진 중이며 현재 국내외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해 이산화탄소 저장소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명성 SK어스온 사장은 “1983년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뛰어든 이래 40년간 축적해온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원유 생산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석유개발사업과 함께 CCS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탄소 중립과 성장이라는 목표를 반드시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 계열 석유개발사업 현황 (표=SK이노베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