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정태선 기자
2010.03.17 10:33:49
[이데일리 창간10주년 특별기획]
[이데일리 정태선 기자] 2020년. 60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평균수명이 95세로 늘어나 70세 나이는 노인 축에 끼지도 못한다.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1955년~63년생)가 전체 인구의 25%나 된다.
정부에서는 급증하는 베이비붐 세대들의 복지비를 감당하려고 각종 명목의 세금을 신설하고 있다. 국민연금과는 별도로 개인연금을 들었거나 주식과 부동산에 투자해 성공한 극소수를 제외하고 대부분 베이비붐 세대들은 공원과 지하철역을 헤매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들을 위해 일자리를 알선하고 놀거리를 제공하고 있지만, 갈수록 늘어나는 은퇴 세대들을 만족시키기엔 역부족이다. 의자에 설치된 이어폰만 연결하면 뮤직비디오나 영화감상을 할 수 있는 시설이 지하철역 곳곳에 설치돼 있다. 지하철 객차 안 노인석도 한복판으로 옮겨 2배 이상 늘렸다.
지하철공사는 대한노인회와 갈등을 빚고 있다. 지하철공사는 만성적자와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노인우대제도`를 만 75세로 올릴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경제적 능력을 상실한 베이비붐 세대들의 잇따른 부동산 처분으로 아파트와 토지시장은 침체를 맞은 지가 오래다. 암울하지만 현재 통계를 기초해 상상해 본 10년 뒤 우리 사회 모습이다.
통계청이 지난해 내놓은 `앞으로 10년간 사회변화 요인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16년부터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보다 많아진다.
2018년엔 노인인구 비율이 전체의 14%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2026년에는 고령인구가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접어든다.
고령화는 단순히 인구구조의 변화만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노동공급, 저축, 재정, 성장 등에 영향을 미치면서 사회·경제의 대규모 지각변동을 가져온다.
우선 중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의 둔화를 초래한다. 2000년 전체 인구 중 생산가능인구(15~64세)비중이 71.7%였지만, 2030년에 64.7%, 2050년에는 53.7%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를 채울만한 노동시장의 변화가 없다면 지속적으로 경제성장을 위협할 것으로 우려된다.
자본공급 측면에서 노년층의 증가는 의미가 크다. 저축률이 낮아지고 가용자금이 줄고 투자가 위축되는 결과를 낳는다. 지난 2000년 가구주 나이가 60세 이상인 가구의 저축률은 20.2%. 전체 가구의 평균저축률인 26.2%보다 훨씬 낮았다.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의 저축률은 15.5%에 불과해 50대(28.0%)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내수소비도 크게 둔화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60대 이상 가구의 소비규모는 40대 가구의 65%, 50대 가구의 70%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한 젊은 세대가 노령인구를 위해 지급해야 할 각종 연금 및 보험비용부담이 증가, 현행 연금체계로는 2036년부터 적자운영이 예상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가 향후 5~10년 이내에 한꺼번에 은퇴한다는 데 특히 문제가 있다. 이들은 지난 30여 년간 왕성한 활동을 하며 경제성장을 주도한 계층으로 712만 명에 달한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4.6%를 차지하는 위상이다.
현재 우리나라 전체 자산의 60%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제력뿐 아니라 정치 패러다임도 확고히 확보하고 있다. 특유의 역동성을 가진 이들의 은퇴는 경제적 수요와 생산의 급속한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
▲투자·내수소비 위축, ▲근로계층의 축소 ▲재정 적자의 심화 등은 복합적으로 작용, 경제성장의 지속적인 둔화를 가져온다. 고령화를 복지문제 이전에 경제문제로 더욱 심각하게 보는 이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