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 전기차 화재 100일…전문가들 "전화위복, 미래차 전환 기반 마련"
by이다원 기자
2024.11.08 05:40:00
산업계와 정부·학계, 대응책 마련 ''올인''
"전기차 안전 신속히 확보…''전화위복''"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사 품질제고 기대"
"수요절벽 돌파할 정부 특단의 지원 필요"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지난 8월1일 인천 청라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이후 100일이 지났다. 전문가들은 청라 화재를 두고 캐즘(일시적 수요정체) 속 포비아(공포증)로 인해 전기차 수요를 심각한 수준으로 위축시켰지만, 화재 예방·대응 기술을 비롯한 안전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발판 역할을 넘어 미래차 전환의 기반이 신속하게 마련되는 전환점이 됐다고 입을 모았다.
|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왼쪽부터), 권용주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교수, 문학훈 오산대 미래전기자동차과 교수. (출처=이데일리DB) |
|
권용주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교수는 7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화재 사고 이후) 전기차 화재를 억제하기 위한 각 분야의 장치들이 공개됐고 개발도 이어가고 있다”며 “어떻게 보면 ‘전화위복’의 과정인 셈”이라고 했다. 완성차 및 배터리 제조사, 정부와 학계가 관련 대응책을 마련해 다른 나라보다 전기차 안전 전반에 대한 인식이 제고됐다는 게 권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정부는 소방 대응책을, 제조사는 화재 예방 차원의 대책을 내놓는 등 관련 대안을 여러 분야에서 세우게 됐다”고 했다.
권 교수는 “발화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차주가 인지하지 못한다면 자동차 회사가 시시각각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고, 강제로 조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중”이라고도 했다.
문학훈 오산대 미래전기자동차과 교수도 “이제는 (전기차) 제조사도 배터리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방화 설계 등을 고민하고 이미 있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도 고도화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내년부터는 자동차 검사 시에도 전기차 배터리에 관한 검사를 진행하는 기관·업체가 늘어나면서 배터리 안전 점검을 수시로 할 수 있어, 고객들도 어느 정도 배터리 안전성을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전기차 화재 관련 소방 대책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다.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불문하고 화재 발생 가능성이 ‘제로(0)’가 될 수 없지만 한 번 불이 붙으면 끄기 힘든 전기차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초기 진압 연구가 정부 및 학계를 통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또 지하주차장을 비롯한 주차장 전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인식도 개선되고 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배터리 품질과 완성차 기업의 기술력 등이 합쳐져 품질을 확보하는 구조다. 따라서 자동차 제조사와 배터리 제조사가 힘을 합쳐 전기차 품질을 끌어 올리는 노력도 강화했다. 권 교수는 “배터리 제조사로서도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며 “그럴수록 배터리 제조사는 품질 검사를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장기적 관점에서 전기차 전환은 정해진 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미래차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긴 호흡의 정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문학훈 교수는 “국내 완성차뿐만 아니라 수입차 브랜드까지 전기차 전반을 포괄하고, 전기차 스마트 충전기 등을 더욱 고도화하는 등 연구개발을 위한 긴 호흡의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은 “제조사는 주행 거리와 배터리 효율은 높고 가격 경쟁력도 확보한 다양한 모델의 전기차를 선보이기 위한 신제품 개발과 연구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수요 절벽을 뒷받침할 정부의 대책이 3년간이라도 한시적으로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기차 보조금 긴급증액 △전기차 구매·운행 시 우대 혜택 확대 △충전인프라 관리 고도화 △국내 생산 전기차 인센티브 확대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