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해지는 PF 정리 압박 수위…진퇴양난 저축은행[금융포커스]
by최정훈 기자
2024.11.03 17:55:21
금융당국, 저축은행 CEO 소집해 부동산 PF 정리 압박
저축은행 타 업권 대비 PF 사업장 구조조정 속도 느려
업계 “타 업권과 단순 비교하기 어려워…수익성 고민도”
금융당국 압박 수위 점차 강해져…현장 점검도 검토 중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업계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구조조정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주요 저축은행 대표이사까지 소집해 PF 사업장 정리에 속도를 내달라는 취지를 전달했다. 가뜩이나 적자의 늪에 빠진 저축은행의 고심이 깊어지는 상황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초 금융감독원은 PF 정리 미완료 사업장이 많은 저축은행 대표이사(CEO)를 소집해 면담을 진행했다.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이번 면담 대상은 10여 곳으로, PF 대출 규모가 큰 OK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등 대형 저축은행도 포함됐다. 당국은 저축은행 대표들에게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속도를 내달라는 취지를 전달했다.
이는 저축은행업계가 다른 업권에 비해 PF 사업장 구조조정에 소극적이라는 판단을 당국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업권의 PF 사업장 중 경·공매 대상은 2조 1000억원 규모지만 매각을 완료한 사업장은 1800억원에 그치며 매각 비율이 8%대에 불과하다. 반면 새마을금고는 정리 대상 PF 사업장 2조 7000억원 중 7000억원(26%)가량을 매각했다. 증권업계도 전체 부실 사업장의 13.5%를 정리했다. 저축은행업권이 금융권 중 PF 사업장 정리 속도가 가장 느린 셈이다.
당국은 저축은행업권이 높은 입찰가를 책정해 의도적으로 경·공매를 늦추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다. 기준금리가 추가 인하하면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면서 높은 가격에 PF 사업장을 매각할 수 있어 저축은행이 버티고 있다고 보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는 구조조정이 느린 상황에 대해 복합적인 이유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PF 사업장은 상호금융 등 다른 업권에 비해 규모가 크거나 대주단끼리 협의가 어려운 때도 있다”며 “또 부동산 시장이 살아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낮은 가격에 구조조정하는 것에 대해 주주들의 반대 목소리도 있다”고 전했다.
물론 적자의 늪에 빠진 저축은행 업계엔 수익성도 큰 고민거리기도 하다. 실제로 올해 3분기 실적이 공개된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인 신한·KB·우리금융·하나저축은행의 3분기 누적 당기순손실 합계는 394억원으로 전년 동기 207억원에서 적자폭이 더 커졌다.
저축은행들은 부동산 PF 부실에 대비해 대출 원금의 30% 수준으로 대손충당금을 쌓아놓은 상태다. 만약 PF 사업장을 대출 원금의 100%에 매각한다면 충당금으로 쌓은 30%는 환입돼 수익으로 계산된다. 저축은행 업계의 적자가 계속되고 있어 조금이라도 대출 원금에 가깝게 매각해 수익을 챙겨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한다.
다만 저축은행을 향한 금융 당국의 압박 수위가 얼마나 거세질지가 관건으로 보인다. 당국은 대출 원금 대비 70% 수준까지 입찰가를 내려야 한다고 보고 있다. 매각 작업이 더딘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도 검토하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임원회의에서 “건설경기 부진 등으로 여전히 불확실성이 큰 만큼 PF 정리대상 사업장은 신속하게 경·공매, 상각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