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빛 계곡 있는 '영덕 옥계 침수정 계곡' 명승 된다

by김은비 기자
2021.09.06 09:52:45

과거부터 동남부 '제일가경'으로 꼽혀
김정호 제작 '청구도' 등에 표시돼 있어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문화재청은 경상북도 영덕군에 있는 ‘영덕 옥계 침수정 계곡’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6일 지정 예고했다.

‘영덕 옥계 침수정 계곡’의 구정담과 세심(사진=문화재청)
영덕 옥계는 계곡의 여러 지류가 오랜 세월 동안 거대한 암반 위를 침식시키면서 형성된 폭포와 연못, 돌개구멍, 소(자연적으로 형성된 웅덩이) 등 독특한 경관이 계곡을 따라 연속으로 펼쳐지는 곳이다.

돌개구멍은 암반의 오목한 곳에 물이 소용돌이치면 모래나 자갈이 함께 섞여 암반을 마모시키며 만들어진 구멍이다.

예로부터 이곳의 빼어난 경관은 ‘남반구북옥계’라 해 ‘달산면지’에서도 동남부의 ‘제일가경’으로 꼽는 경승지였다.



계곡의 중심에는 조선 시대 침류재 손성을( 1724~1796)이 정조 8년(1784)에 지은 정자인 침수정이 들어서 있다. 그는 세심대, 구정담, 탁영담, 부연, 삼귀담, 병풍대, 진주암, 학소대 등 주변 계곡과 암벽의 지형지물 37곳에 이름을 지어 ‘옥계 37경’으로 삼았으며, 침수정의 건너편 기암절벽에 ‘산수주인 손성을’이라 글이 새겨져 있다.

김정호(1804~1866)가 1834년 제작한 전국 조선전도인 보물 ‘청구도’에 ‘옥계’가 표시돼 있다. 18~19세기 여러 문인들의 시와 기문에 침수정과 옥계 일대의 경관이 묘사돼 있다. 오늘날에도 산수화 같은 경관을 곳곳에서 마주할 수 있어 선조들이 자연을 누리는 방식을 이해하는 자료로서 역사문화적 가치 또한 뛰어나다는 평을 받는다.

침수정 주변의 소나무가 우거진 수림 속에는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등이 자리하고 있어 경관을 즐길 수 있고, 암벽 사이에는 희귀·멸종위기 식물인 ‘둥근잎꿩의비름’ 자생지가 형성되어 있는 등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곳이다.

문화재청은 ‘영덕 옥계 침수정 계곡’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최종 지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