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오픈소스 반도체기술 中수출통제도 검토…실현가능성은 '글쎄'
by김상윤 기자
2024.01.11 08:47:38
하원 중국특위, 오픈소스 RISC-V 기술 통제 논의
알리바바 등 미국 반도체 수출 규제 우회 차단 필요
RISC-V 견제 원하는 ARM의 로비도 영향 미친듯
“영어 핵무기 책 읽으니 알파벳 금지하자는 소리”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막기 위해 반도체 설계와 관련한 오픈소스까지 막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이 라이센서(특허)가 있는 반도체 설계기술 활용이 막힌 이후 오픈소스인 ‘리스크 파이브(RISC-V)’를 통해 첨단반도체 개발에 나서고 있어 이를 차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 통제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지만, 현실적으로 오픈소스를 차단할 방법이 간단치 않아 실제 실현될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다.
| RISC-V 기반 칩 개념도 (그래픽=지멘스) |
|
뉴욕타임스(NYT)는 10일(현지시간) 미국 하원의 ‘미국과 중국공산당의 전략적 경쟁에 관한 특별위원회(중국특위)가 지난달 조 바이든 행정부와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RISC-V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출통제를 확대하는 방안이다. 하원 중국특위의 민주당 간사인 라자 크리슈나무르티 의원은 “중국은 이미 RISC-V를 통해 반도체 기술 수출 통제 규제를 약화시키려 시도하고 있다”면서 “RISC-V 참여자들은 중국 공산당의 이해관계가 아닌 기술 발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
RISC-V는 오픈소스 반도체 설계 아키텍처(CPU 등 주요 부품의 구조와 설계방식 등을 포괄하는 뼈대)다. 누구나 RISC-V 기반 반도체 칩과 소프트웨어(SW)를 설계·제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영국의 반도체 설계회사인 ARM의 아키텍처는 로열티(사용료)를 받고 삼성전자, 애플, 퀄컴 등 세계 1000여 반도체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 무겁고 전력 사용이 많은 인텔의 아키텍처에 비해 작고 효율적인 프로세서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에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 전력사용이 많은 인공지능(AI)을 위한 반도체에도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이다.
다만 ARM 아키텍처는 저전력이 필요한 스마트폰의 90% 이상, 태블릿PC의 85% 이상에 활용하고 있어, ARM이 독과점을 남용할 리스크가 있다. ARM이 로열티 가격을 올리거나 거래를 거절할 경우 반도체설계회사 입장에서는 큰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기술이 바로 RISC-V 기술이다. 삼성전자, 인텔 등 여러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함께 참여해 개발하고 있다.
문제는 중국의 IT 기업인 화웨이,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이 영국의 반도체 설계회사인 ARM 기반이 아닌 오픈 설계기술인 RISC-V 기반 첨단 칩 생산을 늘릴 방안을 짜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불거졌다. 미국이 중국을 겨냥해 첨단 반도체 기술 수출 통제를 하고 있는데, 중국이 RISC-V 기반으로 첨단 칩 기술을 활용할 경우 수출 통제가 무력화될 것이라는 게 하원 중국특위의 우려다. RISC-V를 견제하기 위한 ARM의 로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은 NYT에 “경쟁사인 ARM이 RISC-V에 대한 통제를 위해 로비를 벌였다”고 귀띔하기도 했다.
| ARM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는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 (사진=AFP) |
|
하지만 오픈소스 기술인 RISC-V를 통제하기는 쉽지 않다. RISC-V는 원본 코드를 보고 수정할 수 있는 리눅스(윈도우와 비슷한 오픈소스 PC운영체제)와 같은 무료 프로그램을 본뜬 것으로, 온라인에서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고 개선책도 제안할 수 있는 기본명령어 집합체다. 라이센서 기반의 특정 기술처럼 차단하는 게 쉽지 않다. RISC-V를 사용하는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인 에스페란토 테크놀로지스의 데이브 디첼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중국인들이 영어로 쓰인 핵무기에 관한 책을 읽을 수 있으니 영어알파벳을 금지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고 꼬집었다.
바이든 행정부 역시 중국의 RISC-V 사용에 대해 우려하고 있지만. 이 기술을 규제하려는 시도로 인한 잠재적인 후유증에 대해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