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강진, 7400km 떨어진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에 영향

by강민구 기자
2023.02.14 09:24:15

지질자원연, 국내 관측정 지하수 분석
문경·강릉 지하수 관측정 두 곳에서 수위 변화 관측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7400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이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수형 박사 연구팀이 지난 6일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의 본진(규모 7.8)과 여진(규모 7.5) 이후 국내 지하수 관측정 두 곳(문경, 강릉)에서 지하수 수위 변화를 감지했다고 14일 밝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진이 지하수를 점검하고 있다.(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
문경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지하수 수위가 7cm 올라갔고, 여진에 따라 3cm 수위가 내려갔다. 강릉 관측정에서는 본진 후 수위가 3cm 올라간 것으로 조사됐다.



지진이 일어나면 지진파에 의해 지하수가 있는 대수층 주변의 암석들에 압력이 가해지고 대수층에 압축과 팽창이 발생해 지하수 수위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규모 7.5 이상의 지진이 7000km 이상 떨어진 국내 지하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연구팀은 인도네시아 강진, 동일본 대지진, 네팔 강진, 뉴질랜드 강진 당시에도 지하수 수위 변화를 관측해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지하수의 급격한 유동으로 유출과 유입이 불규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지하수가 풍부한 대수층이나 방사성폐기물 부지나 오염 지역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지진, 지하수 연계 점검이 필요하다.

이수형 박사는 “강한 지진이 발생하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지각의 흔들림뿐만 아니라 지하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지진과 연계한 지하수 관측과 분석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 지하수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