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명철 기자
2022.08.30 10:00:00
2022~2026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살펴보니
2026년 재정수지 적자 개선, 국가채무 비율 52%로
국세수입 예측 크게 늘어…지출 증가율 감소폭 미미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재정 정책을 확장에서 건전 기조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윤석열 정부는 앞으로 5년여동안 국가채무 증가율을 낮춰 국내총생산(GDP)대비 비중을 50%대 중반 이내로 관리키로 했다. 재정수지 또한 크게 개선해 재정건전성을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총지출을 크게 줄이기보다는 국세수입 증가에 기댄 측면이 강해 지속적인 지출 구조조정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30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2022~2026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필요한 재정 역할은 적극 수행하는 한편 강력한 혁신으로 건전재정의 기조를 뒷받침하는 재정의 운용 방향을 확립했다.
‘포용적 경제회복과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재정의 역할 지속’이라는 지난해 계획과 비교하면 확장재정에서 건전재정으로 바꿀 것을 밝힌 셈이다.
우선 국가채무는 올해 1068조8000억원에서 2026년 1343조9000억원으로 5년간 275조원 정도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GDP대비 비중은 같은기간 49.7%에서 52.2%로 증가폭을 최소화했다.
2025년 기준 국가채무는 1271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계획(1408조5000억원)과 비교하면 136조원이나 줄어든 수준이다. GDP대비 비중도 58.8%에서 51.4%로 대폭 낮아질 전망이다.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와 관리재정수지(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보장성 기금 제외) 적자는 올해 70조4000억원, 110조8000억원에서 2026년 13조4000억원, 56조6000억원으로 각각 줄일 방침이다. GDP대비 비중은 2026년 각각 0.5%, 2.2%로 낮아지게 된다.
재정수지가 개선되는 배경에는 지출 관리와 세수 여건 개선이 있다.
정부는 5년간(2022~2026년) 총지출을 연평균 4.6% 수준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총지출 증가율을 2023년 5.2%에서 2026년 4.2%까지 점차 하향 조정하고 강력한 지출 재구조화를 통해 필수 소요를 최대한 반영키로 했다.
다만 고정적으로 나가는 의무지출은 2025년 기준으로 할 때 이번 계획에선 382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계획(342조7000억원)보다 오히려 늘어난다.
5년간 의무지출 연평균 증가율도 이번 계획(7.5%)이 지난해 계획(6.5%)보다 높다. 대신 재량 지출 증가율을 1.5%로 지난해 계획(4.5%)보다 크게 낮춰 총지출을 관리하겠다는 복안으로 풀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