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진우 기자
2015.06.21 13:30:01
[이데일리 김진우 기자] 최근 국회 의원회관을 둘러보면 일부 정책담당 보좌진만 의원실 자리를 지키고 있는 모습이 심심찮게 눈에 띈다.
정당에서 주요 당직을 맡지 않거나 상임위원회 일정이 없는 경우 국회의원들은 자신의 지역구로 향하는 게 일반적이다. 특히 내년 4월 20대 총선을 10개월 앞둔 현 시점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주요 정당들도 총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일찌감치 체제를 정비하고 있다. 총선은 정치인 개개인의 운명을 좌우하지만, 정당의 존립 이유를 증명해야 하는 사즉생(死卽生)의 순간이기 때문이다.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은 청와대와의 국회법 개정안 갈등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에도 차근차근 내년 총선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16일에는 이군현 사무총장과 강석호 제1사무부총장이 “수도권 중심으로 주요 당직을 개편해 달라”며 당직 개편의 스타트를 끊었다.
이 사무총장(경남)과 강 사무부총장(경북)은 영남 출신으로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비영남 출신이 당직을 맡는 게 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사무총장은 총선 공천심사위원회에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할 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리다.
반면,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사정은 다르다. 4·29 재보선 참패 이후 불거진 내홍의 여파가 아직도 가라앉지 않은 모습이다. 문재인 대표 책임론과 주승용 최고위원의 사퇴, 정청래 최고위원의 ‘막말 파문’에 이어 지난 12일 혁신위원회가 공식 출범했지만, 계파 갈등 문제가 해결되기보다는 봉합된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22일 양승조 사무총장과 김현미 대표비서실장 등 7명의 정무직 당직자가 사표를 제출했지만, 후임 인선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최재성 사무총장 카드를 놓고 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가 충돌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갈등이 도드라지는 양상이다.
새누리당이나 새정치연합이나 모두 파벌은 존재한다. 새누리당은 친박(친박근혜) 대 비박(비박근혜), 새정치연합은 친노(친노무현) 대 비노(비노무현)란 해묵은 갈등이 있다.
하지만 내년 총선을 준비하는 모습은 ‘천양지차’다. 갈등은 잠시 묻어두고 ‘하나의 목표’를 위해 전진하는 당과 이보다는 ‘계파 소아병’에 걸려 죽기 살기 대결만 하는 당의 운명은 보지 않아도 뻔하다. ‘보수는 부패로 망하고, 진보는 분열로 망한다’는 명제가 다시 생각나는 요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