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지현 기자
2017.10.15 12:00:00
건보공단 건강보험 빅데이터 분석 발표
배변습관 생활습관 교정 통해 예방 가능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지난해 치핵으로 항문치료를 받은 환자가 61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환자는 20~30대가 많았고 남성환자는 60~70대가 많았다.
1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5년 간(2012~2016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치핵’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6년에만 61만 1353명이 치핵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았다.
치핵은 항문 주변의 혈관과 결합한 조직이 덩어리를 이뤄 돌출하거나 출혈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치핵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혈관이 확장하고 혈관을 지지하는 조직들이 늘어지면서 치핵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와 더불어 고령, 임신, 가족적인 특성, 만성 변비 혹은 설사, 화장실에 오래 앉아 있는 습관 및 식습관 등이 이러한 치핵의 발생과정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구 10만명당 치핵 질환 진료환자 수를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 진료 인원이 약간 더 많았다. 전체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수는 1204명이었다. 이를 성별로 구분하면 남성 1252명, 여성 1157명으로 남성이 인구 10만명당 약 95명 정도 더 많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