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107년 전 헤이그’ 놓고 서로 다른 시각

by김경원 기자
2014.03.24 10:10:42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의장국으로 연설, 감개무량”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 “한·일 정상, 섣부른 만남”

[이데일리 김경원 기자] 여야가 한·미·일 정상회담이 열리는 헤이그를 두고 서로 다른 시각차를 나타냈다. 헤이그는 107년 전 을사조약의 무효를 알리고자 파견됐던 이준 열사가 비분강개해 순국한 곳이다.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는 2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제3차 핵안보정상회의가 열리는 헤이그는 1907년 만국평화회의가 열렸던 곳으로 이준 열사가 회의장 출입조차 봉쇄당하고 순국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황 대표는 “107년 만에 우리 대통령이 회의 의장국으로서 연설한다는 것은 감개무량한 일”이라며 “107년 전 대한제국 마지막 외교관들이 흘린 눈물, 아픔을 치유하는 서울핵안보정상회의를 선도해 원자력법을 회의 전에 처리해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은 다른 주장을 제기했다. 즉 한·일 정상회담 개최지로 어울리지 않다는 주장이다.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한·일 정상이 언젠가는 반드시 만나야겠지만 이번 만남은 때도, 장소도, 명분도 납득할 수 없는 섣부른 만남”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 원내대표는 “한·미·일 3각 공조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일본의 군국주의 행진에 제동을 거는 것”이라며 “이를 통한 동북아 평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