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만 참아주세요, 곧 튼튼해질거예요"

by조선일보 기자
2008.08.28 10:44:16

송혜진 기자의 나무기행 ③ 전남 화원반도 ''애기등나무''
멸종위기 야생식물 ''애기등나무'' 지난 10일 전남서 100여 그루 발견

[조선일보 제공] 심마니는 산삼을 캘 때 "심(蔘)봤다"고 하지만, 나무 전문가 윤주복씨의 '심'은 조금 다른 모양이었다. "여기가 바로 제가 10년 전 심봤던 곳이에요." 22일 전남 해남군 화원면 화원반도(花源半島) 입구 근처의 작은 습지. 빗방울이 떨어지는 아침이다. 어리둥절했다. 주변엔 풀만 무성했다. "아니, 뭘 보셨길래요…?" 그가 빙그레 웃었다. "바로 저 녀석이죠." 윤주복씨가 가리킨 '심'이란 흰 꽃송이가 조롱조롱 매달린 키 작은 덩굴나무 한 그루. 2005년 환경부가 멸종위기 2등급으로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식물 제37호 '애기등나무'다.



애기등나무는 작고 약하기로 소문난 식물이다. 꽃과 잎, 열매 모양까지 등나무를 꼭 빼닮았지만 전체적으로 크기가 훨씬 작아서 '애기등'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크기만 작은 게 아니라 몸도 꽤 나약한 모양이다. 우리나라 남쪽 섬에서 주로 자라는 덩굴나무라고 알려져 있지만, 남해안 섬에서조차 군락을 이루고 사는 모습을 보기란 쉽지 않다.

▲ 애기등나무의 흰 꽃송이 /조선영상미디어 조영회 기자 remnant@chosun.com
지난 10일 목포·신안지역 야생화 연구회원들이 전남 압해면 야산에서 애기등나무 100여 그루를 발견한 사실이 뉴스로 나왔던 것도 이 때문이다. 목포대 양효식 생물학과 교수는 "꽃을 피울 만큼 상태가 좋은 애기등나무가 대규모로 발견되는 건 매우 드문 일"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얼굴 보기 힘든 나무였다니, 10년 전 이곳 습지에서 윤주복씨가 녀석을 발견하고 "심봤다"고 했다는 것도 이해가 간다. 윤주복씨는 "군락지가 발견됐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아 그럼 이제 여기를 사람들에게 소개시켜줘도 멸종 걱정은 없겠구나' 싶었다"고 말했다.

주저앉아 애기등나무의 얼굴을 똑바로 바라봤다. 길게 늘어진 샹들리에를 연상시키는 총상꽃차례. 새하얀 꽃잎의 중심엔 샛노란 무늬가 박혔다. 잔털이 뒤덮인 콩꼬투리를 닮은 열매가 꽃잎 뒤로 아른아른 바람에 흔들린다. 잎사귀는 손가락 한 마디보다 짧았다. 등나무와 비교하니 정말이지 작다. "선생님, 이래서 이 녀석 오래 살 수 있을까요?"라고 한마디를 던졌는데, 윤주복씨가 뜻밖의 대답을 했다. "그건 알 수 없죠. 이 녀석 그래 보여도 개척정신은 타고난 식물이거든요."




습지(濕地)는 알아보기 쉬운 땅이다. 물기를 가득 머금은 땅 위엔 풀만 무성할 뿐, 키 큰 나무 한 그루 보이지 않는다. 양분이 부족하고 척박한 탓이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애기등나무는 바로 이렇게 척박하고 양분이 부족한 산지의 아랫자락에서 종종 홀로 발견되곤 한단다.

"신기하죠? 이런 걸 개척(pioneer) 식물이라고들 하는데, 가끔 불이 난 황폐한 땅에서 하루살이 식물이 자라나고 그다음엔 억새가 잘 자라는 식인 거죠. 이 녀석이 습지의 씨앗 문을 열어주는 첫 개척자가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듭니다."

황량한 땅속에서 먼저 뿌리내리고 다른 식물들이 자라나기를 기다리는 이 '개척자' 나무는 안타깝게도 버티는 힘이 부족하다. 호기심 많은 개척자 운명을 타고났지만, 근력이 부족한 탓에 번번이 다른 덩굴식물에 자리를 빼앗기고 '귀한 식물'이 돼버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멸종위기 종'이 끝까지 버텨줄 확률은 얼마나 될까. 습지를 벗어나 양화리 방면 길로 차를 타고 달려가던 길, 도로 한가운데서 윤주복씨는 "잠깐 차를 세우겠다"고 말했다.

도로 옆 가파른 산비탈을 따라 다양한 덩굴식물들이 엉켜 자라고 있다. 사위질빵·계뇨등·댕댕이덩굴·환삼덩굴·참마·칡·멍석딸기·단풍마·인동…, 대충 어림잡아도 종류가 10가지는 됐다. 그럼 애기등은? "저어기 있네요. 저렇게 크게 자랐죠."

깜짝 놀랐다. 잎사귀도 꽃도 여전히 작은 애기등이지만 줄기가 등나무만큼이나 굵게 자란 모습이 놀랍다. 윤주복씨는 '항우도 댕댕이 덩굴에 넘어진다'라는 속담을 들려줬다. 무척 가늘어 보이는 '댕댕이 덩굴'이지만 알고 보면 무척이나 질겨 항우 장사도 이길 수 있다는 것. "10년 전 여기서 봤던 애기등은 줄기가 무척 가늘었는데, 지금은 울창하게 번식하진 못했지만 그래도 저렇게 자랐어요. 나중에 항우장사도 이길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생명이 아닌가도 싶어요. 딱 그때까지만 잘 자랄 수 있게 도와달라고, 멸종위기 종들은 우리에게 말을 걸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여기 이 녀석처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