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후불도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국보 됐다
by김현식 기자
2024.12.26 09:52:21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와 함께 국보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등 5건은 보물로 지정
[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후불도인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와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1997년 보물로 지정된 바 있는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불화다.
석가여래는 크게 부각시키고 나머지 도상들은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작게 그려 상승감을 표현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자들의 얼굴 표현과 세부 문양을 통해서는 조선 전기 불화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
화면 하단의 화기를 통해서는 1729년(조선 영조 5년)이라는 제작 연대와 제작 책임자 격인 의겸을 비롯해 회화 작업에 종사한 승려인 화승들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불·보살의 얼굴과 신체를 금으로 칠하고 모든 존상의 복식 문양을 가는 금선으로 세밀하게 표현해 화려함을 더했다.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는 1980년 보물로 지정된 바 있는 조선 후기 후불도다. 중앙의 영산회상도, 좌측의 약사여래설법도, 우측의 아미타여래설법도 등 3폭으로 구성돼 있다. 1744년(조선 영조 20년) 완성된 이후 직지사 대웅전에 봉안됐다. 현존 삼불회도 중 3폭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작품이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공간적 삼불회도의 전형으로 평가받는다. 장대한 크기에 수많은 등장인물을 섬세하고 유려한 필치로 장중하게 그려냈다. 3폭 모두 사방 테두리 부분에 불교 의례서 ‘조상경’에 근거한 원형의 고대 인도문자인 산스크리트 문자로 이뤄진 ‘범자문 진언’을 배치해 상징성을 부여한 점도 특징이다.
세 폭의 하단에는 제작에 참여한 화승들의 정보가 담긴 화기가 있는데, 이를 통해 직지사 화승 외에 인근 사찰의 화승들이 제작에 관여했음을 알 수 있다. 여러 명의 화승이 공동 작업을 통해 작품을 완성했음에도 세 폭 모두 한 사람이 그린 듯 통일감이 느껴진다는 점이 돋보인다. 화승의 이름 뒤에는 소속 사찰이 함께 기록돼 있어 화승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라는 평가다.
국가유산청은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등 5건에 대해선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했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국가유산청이 2023년 일본에서 환수한 유물로 뚜껑과 몸체, 안쪽에 공간을 분리하는 속상자로 구성돼 있다. 침엽수 계통의 나무로 만든 백골 위에 천을 바르고 그 위에 골회를 입혀 자개를 붙인 다음 여러 번 옻칠해 마감하는 전형적인 고려 나전칠기 제작 방식인 목심저피법으로 제작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보존 상태가 뛰어나고 나전 고유의 빛깔이 잘 남아 있으며 문양의 정교함이 돋보인다는 점에서 높은 학술적·예술적·기술적 가치를 지녔다는 평가다.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은 조성발원문을 통해 1701년(조선 숙종 27년)이라는 제작 연대와 임실 신흥사 적조암이라는 원봉안처를 명확히 알 수 있는 불상이다. 수월도량의 주불인 관음보살과 남순동자, 해상용왕으로 구성된 매우 드문 삼존상으로 현재 흥천사 대방에 모셔져 있다.
조성 작업에 참여한 계초와 진열은 18세기 조각계에서 매우 비중 있는 조각승이다. 따라서 이 불상은 이들의 조각승 계통의 형성과 전승을 연구하는 데 있어 귀중한 자료라는 평가다. 1701년 작품이라는 점에서 18세기 불교 조각의 첫 장을 연다는 미술사적 의의도 있다.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는 화기를 통해 1790년(조선 정조 14년)이라는 제작 연대와 제작 화승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이다. 정조는 1789년 아버지 장헌세자의 무덤을 화성으로 옮겨 현륭원으로 조성하고,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하는 사찰인 원찰로 용주사를 창건한 뒤 이곳에서 수륙재를 개최했는데, 수륙재에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한 것이 바로 이 작품이다.
수륙재는 불교에서 물과 육지를 헤매는 영혼과 아귀를 달래고 위로하기 위해 불법을 강설하고 음식을 베푸는 의례를 뜻한다.
조성 후 대웅보전에 모셔졌던 이 작품의 상단에는 불·보살의 강림을, 하단에는 음식을 베푸는 시식 의식과 무주고혼을 배치해 천도 의식을 통해 불·보살의 구제를 받아 망자가 천도하는 과정을 유기적으로 표현했다. 화면 상단에는 지옥에 빠진 어머니를 구했다는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하나인 목련존자를 그렸는데, 이는 효 사상을 강조하는 유교적인 표현이다.
화면 하단에 그려진 죽음의 장면 중에는 18세기 풍속화를 연상시키는 여러 장면과 당시 유행했던 소설 삽화에 영향을 받은 표현이 있어 조선 후기 불화에 미친 일반 회화의 영향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은 2015년 강원도 양양군 선림원지의 승방터로 추정되는 곳에서 발굴된 작품이다. 금동보살입상이 출토된 선림원은 통일신라기 선종의 요람으로 존속 기간이 길지 않지만 9세기 불교사에서 뚜렷한 흔적을 남긴 순응, 염거화상, 홍각선사 등이 머물며 그 계보를 이어간 역사적 의의가 큰 사찰이다.
이례적으로 광배와 대좌까지 온전히 갖춘 희귀한 작품이다. 광배를 포함한 높이가 66.7cm로, 정확한 출토지를 알 수 있는 발굴품 중 가장 큰 보살상이기도 하다. 도금 상태로 볼 때 제작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매몰된 후 1100여 년이 지나 원래 봉안 장소에서 그대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배와 대좌 장식 일부가 떨어져 나간 상태이지만 전체적으로 도금이 거의 벗겨지지 않아 상태가 양호하다.
보살상, 광배, 대좌, 영락 심지어 정병도 각각 별도로 만들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으며, 머리카락은 남색 안료로 칠하고 얼굴의 눈썹과 눈, 콧망울, 수염, 머리카락과 이마를 경계 짓는 발제선 등을 먹으로 그려 넣었다. 보살상의 얼굴에서 보이는 도드라진 윗입술 표현과 입체적인 옷주름, 천의와 낙액 등은 9세기 보살상의 우수한 조형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은 여러 경전에 들어 있는 참회의 방법과 내용 등을 일정한 체계로 엮은 ‘자비도량참법’을 후대에 다시 교정하고 정리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책이 중국에서 전래된 고려 때부터 여러 차례 간행되어 조선시대까지 많이 전파됐다.
조선의 문신인 김수온이 쓴 발문이 남아 있어, 이 책을 찍기 위한 목판을 1474년(조선 성종 5년) 세조 비 정희왕후가 돌아가신 세종과 소헌왕후, 세조와 아들 의경왕(후일 덕종), 예종, 성종 비 공혜왕후 등의 극락천도를 기원하며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481년(성종 12년)에 인쇄하며 적은 발문을 통해 예종 계비 안순왕후가 양조모인 신숙화의 처 김씨의 영가천도를 위해 펴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왕실이 발원해 제작을 주도한 왕실판본으로, 간행과 인출 시기 및 목적까지 명확해서 의미가 있다. 앞서 이 판본의 다른 불완전본이 보물로 이미 지정된 바 있는데, 이번 지정 대상은 10권 5책의 완질본이자 보존 상태가 우수한 선본이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
국가유산청은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조해 국보로 지정한 2건과 보물로 지정한 5건을 체계적으로 보존·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