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걸 얻은 택시, 혁신에 미래 달렸다

by한광범 기자
2019.07.14 12:48:25

"이제 타다 핑계도 못대…혁신 없인 도태 빨라진다"
규제완화로 택시업계 경쟁 오히려 더 심화될 전망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택시업계의 요구를 대폭 수용한 국토교통부의 택시-플랫폼 상생 종합대책이 이르면 17일께 발표 예정인 가운데, 향후 택시업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종합대책이 시행되면 일단 모빌리티 업체들의 운송시장 진입장벽은 크게 높아지게 된다. 진입하게 되는 모빌리티 업체들 역시 택시 면허를 빌리거나 매입해야 해, 그동안 택시업계가 요구했던 ‘공정한 출발선’ 조건도 갖춰진다. 택시업계로선 더 이상 ‘불공정’을 내세울 수 없는 상황에 도래하게 된 것이다.

서울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소속 택시기사들이 지난달 19일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앞에서 집회를 열고 ‘타다 퇴출’과 ‘택시 규제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진입장벽은 높아졌지만 오히려 택시업계의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가 마련 중인 종합대책엔 그동안 택시업계가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규제완화’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운행시간 규제와 차량·요금 관련 규제가 대폭 완화되면 운행 택시수도 자체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의 택시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경쟁이 오히려 더 치열해지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법인택시연합회 측은 “차량 종류 등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면 법인택시 간 연합을 통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카니발 택시 5000대를 내놓는 것도 문제없다”며 “그동안 경쟁을 피한 것이 아니라 할 수 없는 구조였을 뿐”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실제 모빌리티 업계에선 택시 시장이 결국 ‘브랜드 택시’ 경쟁으로 재편될 것으로 보고 있다. 택시업계 내부나, 합법적으로 시장에 들어오게 될 모빌리티 업계가 각각 브랜드 택시를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난해 10월 출시된 타다 베이직의 ‘강제배차’·‘친절 매뉴얼’ 등이 이미 업계 표준으로 자리 잡은 상황이다.

현재 시장엔 택시운송가맹사업자가 내놓은 ‘웨이고 블루’와 ‘마카롱택시’가 대표적이다. 웨이고 블루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T 플랫폼에 들어가 있고, 마카롱택시는 자체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이들은 서비스 출시 후 택시법인과 개인택시를 빠르게 합류시키며 외형을 확장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4만9000명가량의 조합원이 가입된 서울개인택시운송조합은 국토부 발표 후 자체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다.



택시사업자 외에도 매년 1000대 정도의 모빌리티 업체 차량들도 합법적으로 시장에 들어온다. 국토부가 내놓을 택시면허 임대안은 서비스 모델과 사업성격 등을 고려해, 정부가 매입한 택시면허를 여러 모빌리티 업체들에게 임대하는 안으로 알려졌다.

타다는 지난해 10월 출시 후 기존 택시와 차별화된 서비스로 운송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택시업계는 타다가 ‘불법운송’이라며 공세를 계속하고 있다. (사진=VCNC)
이 경우 택시가 합법화된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들과 경쟁을 해야 한다. 타다 베이직이 초기 300대로 운송시장에 돌풍을 일으켰던 점을 고려하면 적지 않은 숫자다. 한 모빌리티 업체 관계자는 “신생업체가 많은 업계 특성상 기발한 서비스가 속속 출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더해 택시와 모빌리티산업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거대 자본이 본격적으로 들어오는 것도 경쟁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기아차가 이달 마카롱택시 운영사인 KST모빌리티에 50억원을 투자했고, 타타 운영사인 VCNC의 모회사 쏘카의 경우 SK가 2대 주주다.

세계 최대 승차공유 서비스업체인 우버도 한국의 택시 호출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우버는 택시면허 임대를 통한 자체 영업보다는 택시 호출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에 집중하겠다는 구상이다. 국토부 종합대책이 나오면 한국 사업계획도 점차 구체화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 모빌리티 전문가는 “타다를 ‘불법’이라고 규정한 택시업계도 그 서비스에 대해선 이의를 제기하지 못했다. 가령 타다가 택시면허 임대 모델을 받아들이면 택시업계는 이제 핑계도 대지 못하고 경쟁을 해야 하는 구조”라며 “택시업계의 고질적인 불친절 서비스가 계속되면 시장에서 더 빠르게 도태되는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