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현아 기자
2012.06.28 11:00:00
한경연, `경제력집중 억제 논의의 문제점` 보고서 발간
결합심사 시 간접 규율하고, 폐해 시정에 주력해야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재벌들로 경제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경제력집중도가 과거보다 낮아졌으며 경제력집중억제 정책의 부작용이 크기 때문에 일반집중은 기업결합 심사시 단계에서 간접 규율하고, 정부는 시장집중의 폐해 시정에 주력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출자총액제도 부활이나 순환출자 규제 강화 같은 구조적인 규제보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해 담합이나 일간 몰아주기 등을 철저히 감시하는 게 효과적인 대안이라는 이야기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경제력집중 억제정책 강화논의의 문제점과 정책대안`(최원락 연구위원, 황인학 선임연구위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2010년 30대 기업집단의 자산 및 매출집중도는 2000년보다 다소 낮아졌고, 주력업종 특화율도 점진적 상승추세에 있는 등 경제력집중이 높아졌을 것이라는 막연한 추측은 통계적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이다.
보고서는 실증분석을 통해, 출자총액 제한집단과 비제한집단의 경제력집중도의 변화가 출자총액제한제도가 있었는지의 여부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출총제의 경제력집중 억제효과가 없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