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논설 위원
2024.12.04 05:00:00
롯데그룹이 계열사들의 유동성 위기설을 퍼뜨린 허위 정보지 작성·유포자를 잡아 처벌해 달라며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자금 흐름이 막혀 조만간 부도 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가짜 정보로 인해 계열사 주가가 요동치는 등 그룹 신용에 막대한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롯데그룹 모라토리엄 위기’라는 제목으로 유포된 유튜브 동영상도 그렇거니와 이를 확대해 ‘롯데, 공중분해 위기’라는 제목으로 뿌려진 지라시의 내용은 더욱 충격적이었다.
실제로 이러한 허위 정보는 시장에 즉각 엄청난 파문을 일으켰다. 관련 정보지가 유포되자 롯데지주, 롯데케미칼, 롯데쇼핑 등 주요 계열사 주가가 하루 만에 6000억원이나 허공으로 날아가 버렸다. 이로 인해 금융 및 증권시장이 출렁댔음은 물론이다. 사태가 급박하게 돌아가면서 롯데그룹 측은 유동성 위기와 관련된 소문이 사실이 아니라는 공시까지 냈으나 소동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조그만 꼬투리를 잡아 그럴듯하게 확대해 퍼뜨린 사설 정보지로 인해 진짜 위기를 맞을 뻔한 경우였다.
허위 정보를 퍼뜨리는 유튜브나 정보지가 이처럼 기업 경영을 흔들어대고 있다. ‘부도위기’, ‘세무조사’ 등 자극적 표현으로 특정 기업의 경영 상태를 단정적으로 결론짓는 게 예사다. 때로는 총수 일가와 관련된 내용이 부풀려져 폭로되기도 한다. 구독자를 늘리거나 광고 수익을 챙기려는 게 의도다. 정보가 일단 유포되면 이를 바탕으로 제2, 제3의 허위 정보들이 퍼지게 된다는 게 더 문제다. 더욱이 모바일 정보 교환이 늘어나면서 개별 기업의 대응만으로는 정보 확산에 제대로 대처할 수도 없다. 이로 인해 계약이 파기되거나 자금이 순식간에 빠져나갈 가능성도 충분하다. 결국 기업이 휘청거리고 주주들의 애꿎은 피해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피해를 막으려면 강력하고도 신속한 대책이 요구된다. 지금도 허위 사실 유포로 신용을 훼손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돼 있지만 기업이 맞닥뜨린 피해는 보상받을 길이 없다. 수사 의뢰로 대응한다 해도 진상이 밝혀지고 매듭지어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기 마련이다. 허위 정보로 멀쩡한 기업이 눈 깜짝할 사이에 나락으로 떨어지는 사태만큼은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