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백신 자급률 27%에 머물러
by박철근 기자
2021.10.06 09:26:05
[2021 국감]국가예방접종상업 대상 백신 22종 중 원액부터 제조가능 백신 6종 불과
최혜영 의원 “백신 주권 이루려면 주요백신 자급화 추진 필요”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코로나19 상황이 이어지면서 백신주권 확보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백신주권 자급률은 27%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혜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받은 ‘국가예방접종사업 백신자급 현황’에 따르면 국내 유통중인 국가예방접종 백신 22종 중 국내 제조회사에서 원액부터 완제품까지 제조해 공급할 수 있는 백신은 6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뇌염(생백신)백신을 비롯해 △DTaP-IPV/Hib(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폴리오/b형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Tdap(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만11~12세)) △BCG(피내용, 결핵) △폐렴구균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의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최근 접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대상포진, 로타바이러스 등 기타 예방접종 백신의 경우 자급도가 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통되는 기타 예방접종 백신(2021년 9월 기준) 중 원액부터 완제품까지 제조 가능한 백신은 대상포진이 유일했으며, 7종 13개 품목이 원액 수입 제조 또는 완제품 수입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보다 환자 수가 2배가 늘어나는 등 최근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어 질병청에서 20~40대 접종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A형간염 백신도 국내 제조 제품도 원액은 자급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최 의원은 “코로나백신 수급 사태를 겪으며 신종 감염병 대응이나 신기술 기반 백신 개발에 국가자원이 투자되고 있는 추세”라며 “위드코로나 시대에 진정한 백신주권을 이루려면 국민에 필수적으로 접종하는 주요 백신 자급화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범부처 차원에서 오랜 기간 예산을 투입하고 인프라를 구축했는데도 여전히 해외 의존도가 높은 사유를 파악하고 백신 자급화 로드맵을 정비, 글로벌 백신 생산 5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체계를 다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