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바람 부는 가을... 3대 노인성 질환 주의해야

by이순용 기자
2018.10.23 08:45:49

낮은 기온으로 고혈압 발생, 고혈압 환자 뇌혈관질환 위협 증가하는 악순환
관절 주위 근육과 인대 수축으로 퇴행성관절염 통증 심해져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하루 일교차가 큰 전형적인 가을이다. 이렇게 기온이 낮아질때면 노인성 질환 환자들은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추위로 인해 악화될 수 있는 노인성 질환으로는 고혈압, 뇌혈관질환 그리고 퇴행성관절염 등이 있다.

추운 날씨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면서 고혈압이 유발할 수 있고, 고혈압 환자들은 찬 공기에 노출되면 혈압이 상승해 심장질환이나 뇌출혈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낮은 기온으로 인해 고혈압이 생기거나, 고혈압 환자들이 뇌출혈 같은 뇌혈관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 뇌출혈 발병 원인 75%는 고혈압이 주범

혈압은 시간마다 또는 순간순간 다르다. 흥분하거나 운동을 하면 올라가고, 쉬고 있거나 잠을 잘 때는 자연히 떨어진다. 이렇게 혈압이 변동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생리현상이다. 혈압은 심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심장은 우리 몸의 활동 상황에 따라 피의 양을 조절하여 보내주는 일을 하는 기관으로 가장 강력하고도 정확한 자동펌프라고 할 수 있다. 자동펌프에서 나오는 호수 구멍을 좁게 만들면 물은 더 멀리가지만 그만큼 압력이 높아져야 한다. 이것과 같은 이치로 사람 몸의 동맥이 좁아지면 피가 흐르도록 하는 큰 힘이 필요한데, 이때 혈압이 올라간다. 이처럼 한번 오른 혈압이 떨어지지 않는 상태가 바로 고혈압이다.

고혈압은 최고혈압(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고, 최저혈압(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피를 온몸으로 밀어낼 때 혈관에 미치는 압력을 얘기하고, 이완기 혈압은 심장 수축이 풀렸을 때 혈관에서 유지되는 압력이다. 기온이 높을 때는 많은 열을 방출하기 위해 혈관이 이완되며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만, 기온이 급격하게 낮아져 혈관이 수축하게 되면 원활한 혈액순환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런 고혈압 환자들은 갑작스러운 혈압 상승에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경우가 뇌출혈인데, 전체의 약 75%는 고혈압이 원인이다.

가장 중요한 예방법은 무엇보다도 고혈압의 예방이다. 성인의 경우 식습관의 변화, 운동 부족 등으로 나이가 들면서 고혈압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항상 고혈압 유무를 확인하여 조절해야 한다. 그 외에 뇌졸중의 위험인자인 심장질환, 흡연 등에 대한 예방이 필요하며, 고혈압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더욱 주의해야 한다.

◇ 겨울 불청객 뇌졸중, 의심증상 시 즉시 119신고

뇌졸중은 뇌에 피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보고 듣고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데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면 혈관이 수축되면서 혈압이 올라가 뇌혈관이 압력을 더 받게 된다. 이때 고혈압이나 노화로 인해 굳어지고 탄력성이 떨어진 뇌혈관이 터지면서 뇌출혈이 생긴다. 뇌출혈 환자는 반드시 신속한 치료를 받아야 하며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다. ▲보존적 치료에는 항고혈압제의 투여, 두개강 내압 상승의 조절, 적당한 양의 수액, 전해질과 영양분 투여, 배설기능의 유지, 피부 및 폐의 합병증 방지, 체온의 조절, 두통과 불안의 치료 등이 있다.

▲수술적 치료의 목적은 혈종이 커서 두개강 내압 상승을 초래하는 경우 혈종을 제거하여 압력을 낮춰줌으로써 사망을 막고자 함이며, 혈종을 조기에 제거하여 혈종 주위의 부종과 경색 등을 방지하고 신경학적 결손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술 방법에는 개두술과 뇌정위수술이 있다. 개두술은 직접 두개골을 크게 뚫어서 뇌 표면을 자르고 출혈 부위로 들어가 혈종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출혈 부위의 중심점을 뇌 전산화 단층촬영 등을 이용, 정확하게 측정하고 두개골에 직경 약 1cm 정도의 구멍 하나만을 뚫어 기구를 이용하여 중심점에 배액관을 위치시켜 녹아있는 피는 흘러나오게 하고 굳어있는 피는 용해제를 투여해 녹여 빼는 뇌정위수술이 있다. 수술여부 및 방법은 주치의가 환자의 일반상태 혹은 의식상태, 혈종의 부위, 연령, 혈종의 양, 임상경과 등을 고려해 결정한다.

만약 다음의 증상이 나타나면 뇌졸중이 의심되므로 즉시 병원을 찾아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 ▲갑자기 앞을 잘 보지 못하거나 물체가 두개로 보인다 ▲한 쪽 귀가 들리지 않을 때 ▲의식을 잃었을 때 ▲몸이 가라앉고 졸리고 깨워도 자꾸 자려고만 할 때 ▲말이 어둔해지고 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할 때 ▲한쪽 팔다리가 어둔해지고 마비가 올 때 ▲안면 마비로 입이 돌아가는 경우 ▲갑자기 한쪽 팔다리나 얼굴의 감각이 둔해지고 저릴 때 ▲비틀거리며 잘 못 걷고 넘어지는 경우 ▲갑작스러운 어지럼증이 있을 때 ▲갑자기 두통과 구토 증세를 보이는 경우 등이다.

강희인 을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요즘 같은 환절기 때에는 찬 기운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정기적으로 혈압을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특히 노령층에서는 혈관의 탄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고혈압으로 인한 뇌출혈 발병위험이 있으니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퇴행성관절염, 낮은 기온에 근육 신진대사 줄어들면서 통증 심해져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성분 중에서 연골과 주위골에 퇴행 변화가 나타나서 생기는 관절염이다. 주로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 즉 무릎(슬)관절, 엉덩이(고)관절 등에 심한 통증과 운동장애를 나타내며,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관절의 변형까지 초래하는 가장 흔한 관절 질환이다. 흔히 퇴행성관절염도 낮은 기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원인은 이렇다. 기온이 낮아지면 근육 활동이 적어지면서 근육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액순환이 적어지기 때문인데, 그만큼 근육 자체의 신진대사도 줄어들어 통증을 느끼게 되고 증상이 악화된다.

퇴행성관절염은 류마티스관절염과 차이가 있는데, 류마티스관절염은 혈액검사에서 류마티스항체 및 자가항체 양성소견이 나타나지만 퇴행성관절염에서는 이러한 면역학적인 자가항체는 모두 정상소견이며 류마티스관절염에서 나타나는 관절 이외의 증상인 임파선염, 각막염, 폐침범, 신경염, 빈혈소견 등도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주로 침범되는 관절부위도 류마티스관절염은 주로 손가락 중간마디와 발가락과 같은 작은 관절을 주로 침범하지만 퇴행성관절염은 무릎관절과 엉덩이 관절, 손가락의 끝마디에서 흔하게 나타난다.

증상이 심해지는 시기도 류마티스관절염은 아침에 관절이 뻣뻣하고 통증을 호소하며 1시간 이상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퇴행성관절염은 낮동안의 일과 활동을 많이 하고 나서 대게는 저녁 시간이나 잠자기 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다음날 아침에도 강직이 일어날 수 있다. 병의 초기에는 쉬면 통증이 줄어들지만 병이 진행되면 지속적인 통증이 오게 되며 관절운동에도 제한을 받게 된다.

허진욱 을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퇴행성관절염은 평소 체중관리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고 통증 지속 시 약물치료 및 주사치료 등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약물치료를 통해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뿐 아니라 관절보호 및 통증완화에도 도움이 되는 근이완제, 단순 진통제 등을 적절히 함께 사용함으로써 더욱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 밖에 패치제, 바르는 약, 주사제 등 다양한 치료가 가능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