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정부·중앙은행 기업 파산·대규모 실업 막아야"

by이광수 기자
2020.03.23 08:52:01

삼성선물 “美의회·연준, 회사채 매입 등 정책공조 제시해야”

[이데일리 이광수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은 기업 파산과 대규모 실업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제주체들 간 유동성 순환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기간 동안 유동성을 인위적으로 돌려줘야 한다는 설명이다.

최서영 삼성선물 연구원은 23일 “금융시장 패닉의 정점이 확인되지 못하면서 ‘백약이 무효하다’는 실망과 공포가 시장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위기가 과거와 달리 실물경제 주체들의 위기이고,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책을 효과적으로 타게팅하기 쉽지 않고, 궁극적으로 경기 충격을 미리 추정하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최 연구원의 설명이다. 또 코로나19가 진정되기 전에는 경제활동 재개를 기대하기 어려워, 정책들이 당장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는 “현재 경제 정책 입안자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은 경제활동이 일시적으로 멈출 수밖에 없는 기간 동안 경제주체들, 특히 한계기업과 취약계층이 무너지지 않게끔 하는 것”이라며 “경제활동이 재개됐을 때 경기회복이 탄력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끔 역할을 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이 마주한 시급한 문제는 회사채 시장이라는 게 최 연구원의 분석이다. 그는 “미국 기업들은 은행을 통한 간접금융보다 직접금융을 통해 주로 자금을 조달한다”며 “지금처럼 당장 기업 수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장기화될 경우 자금 공급자들의 심리를 달래기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최 연구원은 “기업은 자금조달에 차질이 생길 경우 신규고용을 줄이거나 해고나 파산을 할텐데 이번 사태가 실업문제를 크게 남기고 간다면 미국과 글로벌 경기는 코로나19 정상화에 걸린 시간보다, 이후 경기 정상화에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며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은 기업 파산과 대규모 실업 문제를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유동성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기간동안 대신 유동성을 인위적으로 공급해줘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만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회사채 매입에 물꼬를 튼다면 여타 금융기관들에도 회사채 매입을 독려할 수 있어 크레딧 스프레드는 빠르게 안정세를 되찾을 수도 있다”며 “최종 결정권은 미국 의회에 있어 쉽게 단언하기 어렵지만,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한다면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최 연구원은 “대응이 늦어지면 자칫 시행 전에 신용등급 대거 강등이나 실제 디폴트가 발생할 수 있다”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 될 수 있어 미국 의회와 연준의 정책 공조가 빠른 시일 내에 제시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