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부의 적군과 아군[생활속산업이야기]

by노희준 기자
2024.10.26 09:00:00

41)전세계적 도시농업, 이상기후로 위기
獨카르텐, 英얼라이먼트, 美피패치, 日시민농원
韓 500개 공공텃밭, 200만명 도시농업 참여
스마트 파밍, AI 가정용 재배기 대안될 수 있어

[대동 AI플랫폼사업부문장 나영중 전무] 반려식물, 주말농장, 베란다 텃밭.

대동이 서울사무 5층에 AI식물재배기를 설치해 루꼴라, 바질, 시금치 등의 엽채류와 화훼류인 메리골드를 캡슐을 삽입해 재배하고 있는 모습 (사진=대동).
이 3개의 단어는 공통점이 있다. 바로 농촌이 아닌 도심이나 내 집에서 식물을 키우는 취미 활동을 일컫는 단어다. “사먹으면 되지 뭘 키우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도시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것은 단순히 건강한 식재료를 확보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정서적 및 심리적 안정감, 어린이 농업 교육을 위한 학습의 장, 도시 녹지를 확보를 통한 탄소절감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전 세계적으로 유휴공간을 농업에 활용하는 도시농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독일은 작은 정원을 뜻하는 클라이 가르텐(Klein Garten), 영국은 얼라트먼트(Allotment), 미국 시애틀은 피패치(P-patch), 러시아는 다차(Dacha), 일본은 시민농원이라고 불리는 도시텃밭이 있다. 이름은 다르지만 정부나 지자체에서 무상 또는 저렴한 임대료로 지역민에게 농사용 공공부지를 대여하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금천구 도시농업체험장 (사진=이데일리DB)
가까운 일본은 우리나라의 공공텃밭과 유사한 시민농원과 구획 수(이용자 수)가 1993년 1039곳, 5만6727구획에서 2021년 4235곳, 18만7006구획으로 증가할 정도로 큰 인기다. 또 이와 별개로 레저나 취미 목적 농업이 아니라 판매 목적 전문 상업적 농업인 ‘도시농업’도 있다. 이 도시농업의 농지 면적은 2021년 6만ha로 전체 일본 농지 면적 432만5000ha의 1.4%에 달한다. 도시농업 경영체 수는 13만3000농가로 전체 107만5000농가의 12.4%를 차지할 정도로 일본 농업에서 비중이 적지 않다.

독일의 클라이 가르텐은 1차 대전 패전 이후 식량난에 빠지자 시민들이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땅을 보급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현재는 도시마다 차이가 있지만, 약 400㎡에 연간 우리 돈으로 50만~60만원대 정도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건만 잘 지키면 무기한 임대도 가능하다. 2021년 기준 독일 전역에 150만개의 클라이 가르텐을 500만 시민이 이용할 정도로 인기다.



우리나라는 2023년을 기준으로 약 500개의 공공 텃밭이 운영되고 있다. 약 200만 명 이상은 도시농업에 참여하고 있다. 2011년 제정된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도시농업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 이를 통해 정부 및 지자체는 도시농업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교육, 인프라 조성 등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한 식생활과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서울도시농업박람회에서 주민 및 도시농부들이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이데일리DB)
도시농업은 세계 여러 국가에서 각광 받고 있지만 이상 기후와 병충해 탓에 앞으로는 ‘쉽지 않은 취미’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일례로 올해 여름철(6∼8월) 전국 평균기온(25.6도)은 1973년 기상관측 이후 가장 높았다. 평년(과거 30년)보다도 1.9도가 높았다. 열대야 일수는 평년보다 13.7일 많은 20.2일로 역대 1위였다. 폭염일수는 24.0일로 역대 3위로 나타났다.

농지 및 농업 인구 감소, 이상기후, 자연재해 등 여러 요인들은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대동이 ‘미래농업 리딩 기업’이라는 새로운 기업 비전을 선포하고 전통적인 노지나 온실 농업을 위한 데이터와 인공지능(AI)기반의 스마트 파밍 기술을 개발하게 된 것도, 또 이 기술을 기반으로 AI 가정용 재배기를 만들게 된 것도 이런 기술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대동이 선보인 재배기의 경우 엽채류, 허브류, 화훼류, 과채류 등 40여개의 품종을 키울 수 있다. 재배 방법도 간단한다. 재배기 안에 씨앗 캡슐만 넣으면 모니터링 카메라가 씨앗 캡슐 코드를 자동인식해 씨앗 종류를 인지하고, 온도, 습도, 영양액 수준, 광의 밝기 등의 환경을 씨앗 종류에 맞춰 자동 제어를 해준다. 또 대동 재배기 앱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AI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생육 상태, 잎 면적, 생중량을 예측하며 손쉽게 수확 시기를 알림할 수 있다. 이에 농경지가 아닌 도심과 실내라도, 도심의 초보 농업인이라도 쉽게 작물을 재배해 농업의 즐거움과 가치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있다.

실외 농업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작금의 현실에서 재배기는 농작물을 내손으로 직접 키우고 싶은 사람에게는 좋은 대안이 되리라 본다. 노지 농업이 점점 더 어려워져 “사먹을 것이냐? 키워 먹을 것이냐?” 고민이 드는 지금 도시농업에 대한 다양한 대안이 등장하길 희망한다.

대동 AI플랫폼사업부문장 나영중 전무 (이미지=김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