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중앙은행 총재 "중립금리, 통화정책 기조 평가 준거"

by하상렬 기자
2024.05.30 09:00:00

2024년 BOK 국제컨퍼런스 개최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 총재 기조연설
"팬데믹 이후 실질금리 상승…구조적 상승인지 봐야"
"중립금리 불확실…통화정책 유용한 추정치 내야"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중립금리(R*)는 통화정책 장기적인 기조 평가의 중요한 준거라는 진단이 나왔다. 다만 단기적인 통화 여건 변화는 중립금리와 무관하게 실질금리의 변화만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따랐다.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 총재가 30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BOK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SNB) 총재는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신축별관 컨퍼런스홀에서 ‘중립금리의 변화와 세계 경제에 대한 함의’라는 주제로 열린 ‘2024년 BOK 국제컨퍼런스’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중립금리는 경제 부양·긴축, 과열과 침체 어느 쪽도 아닌 금리 수준으로, 실질금리(기준금리에서 물가상승률 또는 물가목표치를 제거한 금리)의 중립 수준을 의미한다.

요르단 총재는 지난 40여년 간 주요국 실질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0%를 약간 밑도는 수준까지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실질금리의 장기적인 하락 추세는 잠재성장률 하락, 은퇴대비 저축 증가,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 증가 등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요르단 총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요국 실질금리가 ‘제로(0) 금리’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상승했다고 봤다. 주요국들이 고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긴축적 통화정책을 펼친 데 기인한다는 분석이다.

그는 이같은 실질금리 반등이 구조적으로 중립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것인지를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르단 총재는 현재까진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낮은 잠재성장률, 기대수명 증가 등 실질금리를 낮추는 요인과 비경제활동인구 증가로 인한 저축률 하락, 대규모 재정적자, 신기술에 따른 생산성 향상, 녹색 전환에 따른 대규모 투자 등 실질금리를 높이는 요인이 혼재돼 있기 때문이다.



자료=한국은행
요르단 총재는 중립금리가 통화정책 기조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준거 중 하나로 기능하기에 변화 방향을 제대로 예측하고 그 구조적 결정요인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봤다. 따라서 그는 신뢰할만한 중립금리 추정치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요르단 총재는 “신뢰할만한 중립금리 추정치는 다양한 모형 추정치의 기계적인 평균값으로 도출해서는 안 되며, 모형 내에서 포착할 수 없는 구조적 요인들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적 판단에도 기반해 도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요르단 총재는 중립금리를 통화정책의 장기적인 기조 평가와 인플레이션 전망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지만, 단기적인 통화 여건 변화를 설명할 수 없다고도 강조했다. 중립금리 추정치를 실제 통화정책에 활용할 경우 ‘리스크 관리 접근법’을 취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중립금리가 과소 혹은 과대 추정됐을 가능성을 열어두고 다양한 시나리오 아래서도 강건한 통화정책 전략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주어진 금리 경로에 대해 인플레이션 상승·하락 위험이 현실화할 수 있으므로 모든 가능한 인플레이션 경로에 대한 다양한 정책 대응의 비용·편익 분석을 실시하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통화정책 결정자들의 중요 임무 중 하나는 불확실한 중립금리 추정치를 통화정책 결정에 유용한 중립금리 추정치로 변환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중립금리의 구조적 변화요인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SNB는 물가 목표를 0~2% 범위로 넓게 규정하고 통화정책을 운영한다. 요르단 총재는 물가 목표의 유연성은 SNB가 외부 충격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중립금리 또는 인플레이션 전망의 불확실성에 대처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