法 '대우조선비리' 강만수 前산업은행장 구속영장 발부

by성세희 기자
2016.12.01 08:40:08

강만수 "평생 조국을 위해 일했는데 너무해"
法 "증거 자료 등을 종합할 때 강 전 행장 구속 사유 인정돼"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대우조선해양 비리 의혹에 연루된 강만수 전 산업은행장이 지난 9월19일 오전 피의자 신분으로 서울 서초동 서울고검으로 들어섰다.
[이데일리 성세희 기자] ‘MB 최측근’이자 대우조선해양(042660)에 알력을 행사한 강만수(71·) 전 산업은행장이 구속 수사를 받게 됐다.

서울중앙지법 조의연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1일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직권남용)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과 알선수재,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과 제삼자뇌물수수 등 혐의로 강 전 행장의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조 부장판사는 “현재까지 수집된 증거 자료 등을 종합할 때 (강 전 행장을) 구속해야 할 사유와 필요성을 인정할 수 있다”라는 영장 발부 사유를 설명했다.

강 전 행장은 지난 30일 오전 10시쯤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으러 서울중앙지법에 도착해 “평생 조국 경제 발전을 위해서 일했는데 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라며 “지난 8월 압수수색을 받은 뒤 넉 달 동안 힘들었는데 힘 빠진 본인에게 세금을 너무 많이 쓰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검찰에 따르면 강 전 행장은 지인이 운영하는 신재생에너지 개발업체 바이올시스템즈에 지분투자와 연구·개발비로 합계 54억 원을 투자토록 대우조선해양에 압력을 넣었다. 대우조선해양과 자회사 부산국제물류(BIDC)는 이 지시에 따라 2011년 9월과 11월 바이올시스템즈에 각 4억 9999만 8000원씩을 지분 투자했다.



또 2012년 2월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 기술개발’이라는 이 회사 연구개발 사업에 총 44억원을 지원했다. 검찰은 바이오 에탄올 상용 기술이 없던 이 회사가 대우조선해양을 속일 수 있었던 배경에 강 전 행장이 있었다고 보고 있다.

또 대우조선해양이 시행한 수십억대 아파트 공사 하도급 공사를 포함해 약 50억대 일감을 몰아줬다는 의혹도 받는다. 대우조선해양은 강 전 행장 종친이 운영하는 중소건설사인 W사에 맡겼다.

강 전 행장은 산업은행장 재직 당시 고교 동창인 임우근 회장이 운영하는 한성기업에 180억대 특혜 대출한 혐의도 있다. 그 대가로 강 전 행장은 명절 떡값 명목으로 상당액의 현금과 골프여행비, 사무실 운영비 등 억대 금품을 챙겼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 9월21일 특가법상 뇌물수수, 특경법상 알선수재 및 배임, 제삼자 뇌물수수 혐의로 법원에 강 전 행장의 영장을 청구했다가 기각됐다. 수사팀은 지난달 25일 강 전 행장을 다시 불러 강도 높게 추궁하고 사흘 뒤 법원에 영장을 재청구했다. 검찰이 구속영장 재청구에 성공하면서 강 전 행장을 향한 수사에 탄력을 받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