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세월호 참사 넘는 수준

by임정요 기자
2025.04.12 10:54:24

[이데일리 임정요 기자] 영남권을 덮친 산불 사태 피해 복구를 위해 국민이 낸 성금이 1300억원을 넘어섰다.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 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모인 성금 규모는 약 1천328억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22년 경북·강원 동해안 산불(약 830억원) 및 세월호 참사(1290억원) 때의 성금 규모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세월호 참사 성금의 경우 사고 발생 2014년 4월 16일 이후부터 2018년 8월까지 약 4년간 모인 액수다.

산불에 전소된 영덕 어촌마을(사진=뉴시스)
이번 경상북도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은 서울의 약 75%인 4만5167헥타르(㏊)의 산불영향구역(피해 면적)을 기록했다. 이는 1986년 산림청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역대 단일 산불 최대 규모로 알려졌다.

산불은 지난달 22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돼 안동·청송·영덕·영양까지 번졌고 진화 다음날인 29일 안동과 의성에 이어 30일 청송에서도 재발화했다.



이번 산불사태로 인한 인명피해는 경상자가 1명 증가해 모두 83명으로 늘어났다. 이중 사망은 31명, 중상 9명, 경상 43명이다. 시설 피해는 이날 오전 6시 기준 경북 8천200곳 등 8천457곳으로, 불에 모두 타거나 부분 파손됐다.

산불 사태 이후 이재민 등에 대한 심리상담도 이어져 누적 1만1293건의 심리상담 및 심리적 응급처치가 이뤄졌다. 다만, 아직 2199세대·3633명의 이재민이 임시 대피시설, 숙박시설, 친인척집에 머물러 있다.

정부는 15일까지 중앙재난피해 합동조사를 벌인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확한 피해 규모를 산정해 복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한편, 행정안전부와 지자체는 연일 재난알림문자를 통해 산불 위험 경보를 전하고 있다. 작은 부주의가 대형산불로 번질 수 있으며 현재 산불재난 위기경보 심각단계가 발령되었고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산불 위험높음 △영농부산물, 쓰레기 소각행위 금지 △실수로 산불을 내더라도 처벌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 전파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