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치료 遺憾(유감)… 원칙을 지켜라

by조선일보 기자
2007.11.14 10:45:29

[조선일보 제공] 감기약의 안전성 문제를 다룬 지난 주 기사는 꽤 반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어린이를 둔 부모들의 걱정스런 문의가 잇따랐습니다. 내친 김에 감기 얘기를 하나 더 하겠습니다.

2003년 세계적 전략 컨설팅 그룹 맥킨지와 공동으로 우리나라 의료 시스템을 점검하는 특집 기획을 연재한 바 있습니다. 그 때 제기된 이슈 중 하나가 감기 진료비 문제입니다.

당시 기사에 따르면, 2001년 감기 치료를 위해 지출된 건강보험은 1조3151억원. 암 치료비 6400억원의 두 배가 넘었습니다. 취재팀은 ‘푼돈’이 드는 감기에 걸렸을 땐 건강보험 혜택을 톡톡히 보지만, 정작 ‘목돈’이 드는 암에 걸렸을 땐 건강보험이 무용지물인 상황이 빚어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감기 같은 적은 돈이 드는 질병은 진료비 본인 부담금을 높이거나 아예 전액 본인이 부담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기사에 썼습니다.

정말 ‘욕’ 제대로 많이 먹었습니다. 기사가 나가자 “너한텐 푼돈일지 모르지만 우린 그 돈도 없어 쩔쩔맨다”는 항의 전화가 한동안 이어졌습니다. 감기 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동네 의사들 항의도 못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 사람 넷 중 한 명이 암으로 사망하는데, 장차 받게 될 큰 혜택보다 당장의 작은 떡에 집착하는 대중의 정서가 지금도 안타깝습니다.

한번 따져봅시다. 감기가 걸린 사람 중 꼭 병원에 가야 할 환자는 10%도 안됩니다. 병원에선 항생제를 많이 처방하는데, 감기 바이러스는 항생제로 죽지 않습니다. 항생제가 필요한 경우는 감기로 인해 세균성 중이염이나 인후염, 부비동염(축농증) 같은 합병증이 생겼을 때뿐입니다.



많은 의사가 초기에 항생제 치료를 해야 세균성 합병증을 더 잘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하는데, 항생제는 예방 효과가 없으며, 예방 목적으로 사용해서도 안 된다는 것이 ‘교과서적 진실’ 입니다.

맥킨지는 감기 진료비(본인 부담금)가 너무 싸다 보니 진료가 필요 없는 환자까지 병원 가서 진료를 받는 ‘도덕적 해이’가 일어났고, 그 때문에 2001년 우리나라 사람의 연 평균 외래 진찰 횟수는 12.3회로 미국(5.8회), 영국(5.4회), 독일(6.5회) 등 서구 선진국의 두 배가 넘는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원칙으로 돌아갑시다. 최선의 감기 처방은 휴식입니다. 감기는 바이러스의 문제가 아니라 인체 방어 시스템의 문제입니다. 따라서 감기에 걸리면 빨리 방어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합니다. 특히 잠을 푹 자는 것이 최고입니다. 면역 림프구는 잠을 잘 때 더 활발하게 생성되므로 평소보다 한 두 시간 일찍 잠자리에 들 필요가 있습니다.

한 달 이상 감기가 떨어지지 않아 고생하는 분이 많은데 원칙을 지키지 않으면 그렇게 됩니다. 차라리 하루쯤 푹 쉬고 말짱하게 회복돼 열심히 일하는 것이 몇 달씩 감기를 달고 골골거리며 일하는 것보다 낫습니다. 그 밖에 평소보다 물을 많이 마시고, 단백질과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하고, 칫솔질을 자주 하는 것도 감기 회복에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