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오면 찾아오던 보험 절판마케팅···올해는 왜 안보이지?
by유은실 기자
2023.03.05 14:01:50
고금리로 '예정이율 상승→보험료 인하'
'당국 제지·판매 중지' 담보 이슈도 없어
개정 상품 출시 전 절판 마케팅 잠잠해
[이데일리 유은실 기자] 3월이면 활발히 전개되던 보험업계 절판 마케팅이 올해는 잠잠한 모습이다. ‘고금리’로 예정이율이 뛰면서 보험료가 저렴해지는 추세인 데다, 절판 마케팅을 진행할 만한 별다른 ‘담보 이슈’가 없어서다.
6일 보험업계 안팎에 따르면 올해는 4월 상품 개정에 맞춰 들려오던 절판 마케팅 소식이 뚝 끊겼다. 보험업계에선 통상 4월은 상품 개정의 달로 여겨진다. 새학기·계절 변화 등 수요가 몰리는 성수기 3월에 영업 대목을 누린 뒤, 4월에 보험료를 조정하거나 담보를 재정비하는 등 개정 작업을 마치기 때문이다. 지난해 이맘때쯤엔 무·저해지 보험이, 2020~2021년엔 종신보험·건강보험에 대한 절판 마케팅이 성행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올해 절판 마케팅이 성행하지 않는 배경엔 ‘고금리’가 있다고 입을 보았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금리 상승 기조로 보험사들이 예정이율에 변화를 주면서 보험료가 내려가고 있는 상황인데, 굳이 “보험 개정되기 전에 막차에 올라타라”는 절판 마케팅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 1월부터 주요 보험사들이 보험상품의 예정이율을 높이면서 보험료를 인하했다. 삼성생명은 새해 1월부터 일반 종신보험·건강보험의 예정이율을 각각 0.25%포인트(p), 0.50%포인트 상향했다. 주요 손해보험사들 역시 상품별 예정이율을 높였다. KB손해보험은 올 3월 ‘KB금쪽같은 자녀보험’을 개정 출시하면서 예정이율을 2.75%에서 2.85%로 0.10%포인트 상향 조정하고 보험료를 3.4%가량 내렸다.
예정이율은 보험사들이 거둬들인 보험료를 통해 얻을 것으로 보이는 예상운용이익률로, 보험료 산정의 기준이 된다. 대개 보험사들이 채권 투자 등의 자산 운용을 통해 이익을 내고 있기 때문에 금리가 상승하면 예정이율 역시 동반 상승하게 되는 구조다.
회사 입장에선 예상하는 수익률이 높아지면 고객에게 돌려줄 수 있는 예정이율도 높이게 되고, 고객 입장에선 예정이율이 높아지면 보험료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예정이율과 보험료는 반비례인 셈이다. 일반적으로 예정이율이 0.25%포인트 상승하면 보험료는 5~10% 인하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료 책정의 기준이 되는 예정이율은 금리 상황 반영이 조금 늦은 편인데, 기준금리 인상 영향이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지속 반영되고 있다”며 “보험사 예정이율 인상이 예상되는 시점에선 ‘보험료가 비싸질 예정이니 보험에 가입하세요’라는 셀링포인트가 통하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올해는 별다른 ‘담보 이슈’가 없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대개 절판 마케팅은 상품 개정 이후 혜택 축소, 보험료 인상 이슈 등을 이용해 이뤄진다. 예컨대 지난해 3월 절판 마케팅 중심에 있던 ‘무·저해지 보험’은 모범규준 도입 이슈가 있었다. 2022년 4월부터 보험사들이 금융당국의 도입한 모범규준에 따라 무·저해지 상품을 팔지 않거나 혹은 보험료를 인상할 예정이니, 늦지 않게 미리 보험에 들어두라는 식이었다.
금융당국이 경쟁 과열 방지·소비자 보호 목적을 위해 보험 혜택을 줄이는 쪽으로 업계에 요구를 하면, 영업 일선에선 이를 이용한 절판 마케팅이 활개를 치는 일이 발생해왔다. 하지만 올해는 특정한 보험이나 담보 이슈가 아직 부상하지 않았다. 최근 손보사들이 변호사선임비 특약 확대로 운전자보험 시장에서 과열 양상을 띄고 있긴 하나, 당국도 절판 마케팅 가능성을 인식해 아직까진 별다른 조치를 하고 있지 않다.
보험사 관계자는 “작년엔 보험사들이 무·저해지 보험 관련 내용을 홈페이지에 안내하거나, 영업 현장에 있는 설계사들이 고객들에게 무·저해지 상품 혜택 축소 문자를 보내는 등 마케팅 활동을 했었다”며 “올해는 4월 개정 상품 나올 때 판매를 못한다는 담보나 보험 얘기가 나오고 있지 않아 절판 마케팅 아이템 자체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