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지현 기자
2011.06.07 09:33:46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서울 주상복합아파트 공급 면적 가운데 85㎡미만은 30%에 그쳐 주택공급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서울시 산하 시정개발연구원은 `주상복합건물 계획적 관리방향`이라는 연구 보고서를 통해 상업지역에서 주상복합건물이 과다 공급됐지만,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상복합건물은 1990년부터 2010년 상반기까지 상업지역에서만 총 193건의 건물에 4만2000여가구의 주택이 공급됐다.
주상복합건물의 주거 총연면적은 392만㎡로 이를 오피스 면적으로 환산하면 서울파이낸스센터(지상연면적 약 8만㎡) 49개동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지역별로는 ▲동남권(98건)에 절반 가까이 집중됐고 나머지는 ▲서남권(47건) ▲도심권(23건) ▲동북건(16건) ▲서북권(9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남권 중 서초·강남·송파 3개구에 42%(81건)가 집중됐다.
타입별로는 ▲85㎡미만 29.9% ▲85~115㎡미만 21.5% ▲115~225㎡ 40.1% ▲225㎡이상 8.5%로 각각 집계됐다. 국민주택 규모인 85㎡미만은 1만389가구로 전체의 30%도 안 되고 중대형 주택 위주로 공급되 주택공급 효과에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상복합건물의 주거비율은 63%지만, 80% 이상인 경우도 30%나 됐다. 이 때문에 상업·업무공간이 잠식되는 것은 물론 기반시설의 부족과 경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특히 기반시설과 공동주택 부대복리시설 설치 규정의 미적용으로 학교, 도로 등 기반시설에 대한 과부하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