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본 이태원 참사 '골든타임 4분' 놓친 이유는?
by박경훈 기자
2022.10.30 10:28:00
"압사당하면 쇼크→심정지, 온몸에 피 안 돌아"
"4분 내에 심장박동 돌아오게 해야, 소방 접근 어려워"
"심폐소생술, 환자 평평한 곳 눕혀야…시간 오래 걸려"
"호흡곤란 환자 산소 투여 중요, 일반인 처치 어려워"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최악의 압사 사고인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심폐소생술(CPR) ‘골든타임 4분’을 지키기는 어려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10만명이 넘는 인파 속에서 구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원인을 지적했다.
| 지난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 핼러윈을 맞아 인파가 몰려 사고가 발생했다. 30일 새벽 현장에 급파된 의료진들이 부상자 구조활동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염건웅 유원대학교 경찰소방행정학 교수는 30일 YTN ‘굿모닝와이티엔’과 인터뷰에서 “사고가 발생한 지점인 해밀턴호텔 옆에 있는 골목길에 수용할 수 없을 정도의 인원이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움직일 수 없었다”며 “그런 상황에서 한 분이 넘어졌고, 사람들이 계속 차곡차곡 넘어지면서 쌓이는 압사 참사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염 교수는 “하필 비탈길 내리막길이었고, 뒤에서 사람들이 밀려 넘어지면서 쌓여서 압박할 수밖에 없었고 자기 힘으로 버틸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라며 “밑에 있는 분은 엄청난 무게를 감당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소방당국이 신고를 받고 빨리 출동하려고 했지만 이태원 근처 도로 상황도 마비가 됐었다. 그러다 보니 소방에서는 재난 3단계, 대응 3단계까지 올려서 출동했고 그다음 현장에 인력을 투입하려고 했지만 그런 부분에서 지체될 수밖에 없어 안타깝다”며 “그래서 현장에서 많은 시민들이 구조대원 역할을 하셨던 것”이라고 했다.
염 교수는 “압사당하게 되면 쇼크가 오게 되고 숨을 쉴 수 없는 심정지 상태가 된다. 심정지가 되면 온몸에 피가 안 돌고 심지어 뇌혈관에도 혈액 공급이 정지되는 상태가 된다”며 “의료계에서도 골든타임을 4분으로 잡고 있다. 4분 내에 심장박동이 돌아오게 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래서 많은 시민들이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하느라) 노력하셨고 또 소방대원들도 같이 노력했지만 안타깝게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장 초기 화면을 보면 벽을 잡으면서 압사당하지 않게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는 분들의 모습이 보인다. 소방대원, 경찰도 사람을 끌어내려고 잡아끌고 몸을 당기는데도 사람이 끼어 있기에 절대 빠지지 않았다. 2층에서도 사람을 올리려고 했지만 빠지지 않았다”며 “현장에 있는 분들은 모두 최선을 다해서 구조하고 살아남으려고 노력했지만 정말 많은 인파가 좁은 골목에 있었고 경사로에서 밀려서 넘어져서 압사를 당하는 상황에서, 심지어 소방까지 출동이 지체될 수밖에 없어 결국은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 지난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 핼러윈을 맞아 인파가 몰려 사고가 발생했다. 30일 새벽 현장에 급파된 119 구급대원들이 희생자 구조활동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노영선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같은 방송사의 ‘뉴스특보’에 나와 현장 상황과 대처 방법 등을 전했다. 먼저 노 교수는 “저희도 현장에서 CPR 하면서 이동한 케이스가 2건 있었고 2건 모두 안타깝게 사망했다”고 언급했다.
노 교수는 현장 상황상 CPR을 하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그는 “심폐소생술은 매우 중요하다. 심장이 멎은 직후부터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면 사실 환자의 심장이 다시 소생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진다”면서도 “이번 사고에서는 아마도 사상자들이 쌓이고 쌓이고 하면서 구조하는 데까지 시간이 조금 더 많이 걸렸던 것으로 생각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환자를 일단 CPR을 하려면 구조해서 평평한 곳에 눕히고 CPR을 해야 하기 때문에 아마 그 과정까지가 시간이 좀 더 오래 걸렸던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노 교수는 일반인이 현장에서 할 수 있는 응급처치의 한계도 말했다. 그는 “압사사고 때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은 호흡곤란과 골절상이다. 오늘도 다리 골절상 환자들이 굉장히 많다”면서 “골절상이 있는 환자들은 사실 부목 같은 걸 대서 손상된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호흡곤란 환자들은 사실은 산소를 투여해 주는 게 중요한데 그건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처치는 아니”라면서 “빠르게 119에 신고하는 것이 할 수 있는 일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