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경인 기자
2006.01.06 09:31:54
ATM에 적용할 생체정보 인식기술 놓고 의견 대립
[이데일리 김경인기자] `손바닥이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새해 벽두부터 일본 금융계에 `지문과 손금`을 둘러싼 이색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새로 도입되는 현금자동입출기(ATM) 때문이다.
일본 주요 은행들은 최근 ATM을 이용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생체정보로 사용자를 판별하는 기술의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ATM 사기 등 관련 범죄로 인한 피해에 대해 은행의 책임범위를 높이는 법률이 곧 발효될 예정이기 때문. 첨단 생체정보 인식 기술을 동원해 범죄를 원천봉쇄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은행마다 다른 방식을 선택하고 있어 기술 표준을 통일해야 한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일본 은행들이 채택하고 있는 방식은 2가지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하나는 지문을 인식해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이고, 또 다른 하나는 지문 대신 손금을 판별하는 것이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자면 기계에 따라 손가락을 내밀어야 할지, 손바닥을 내밀어야 할지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다. 업계에서도 두 가지 기술이 호환될 수 없기 때문에 기술 도입 초기에 표준을 통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6일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따르면 최근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의 미쓰비시 은행이 주요 은행중 처음으로 생체 정보 인식 시스템을 ATM에 접목시켰다. 현재 미쓰비시가 보유한 ATM 가운데 1400개가 손금으로 소비자를 식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의 미즈호 은행은 올해 상반기 중 지문 인식 시스템을 장착한 ATM을 설치할 계획이다. 일본 우정공사 역시 조만간 지문 인식 시스템을 적용한 ATM을 설치할 예정이다.
지문 인식과 손금 인식 기술은 기본 포맷이 기능상 거의 동일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두 기술을 한 ATM에 동시에 적용할 수 없으며, 따라서 한 개의 표준으로 통일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아 양 진영간에 갈등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다음달부터 발효되는 새 법률에 따르면, 예금자의 과실이 없는 금융 사고의 경우 금융기관이 손해금액 전체를 보상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각 은행들이 ATM 등을 통한 사기 및 절도 등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생체 인식 시스템을 적용한 ATM과 스마트 카드 등을 추진 중이며, 기존 마그네틱방식의 카드에 대해서는 하루 인출 한도를 낮추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