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디지털경제 4위…신흥국 최강자 중국은?
by이윤화 기자
2021.06.27 12:00:00
한은 ''중국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경제 비중 1%P 상승시, 경제성장률 0.3%P 증가
| 지난 2월 베이징 왕푸징 쇼핑지구의 한 상점에 디지털위안화 사용이 가능하다는 표지판이 붙어있다. 사진=신정은 기자 |
|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중국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디지털 경제’에 투자한 결과 다른 선진국들보다 훨씬 앞선 환경을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디지털 경제 비중은 40%에 달해 신흥국들 중에서는 최상위 수준이다. 포괄적인 디지털 경제 규모 비교를 해보면 2019년 기준 중국은 전세계 7위를 기록했다. 1위는 독일이며, 한국은 4위를 차지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 ‘중국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중국 전체 GDP에서 디지털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2.6%에서 지난해 38.6% 수준으로 급성장했다. 디지털 관련 일자리도 함께 늘어나 2018년에는 전체 고용의 약 4분의 1 정도(24.6%)가 디지털 경제에서 창출됐다.
디지털 경제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할 때 중국 경제성장률은 2년의 시차를 두고 0.3%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문에 중국 정부는 신성장 동력으로 디지털 인프라와 첨단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산업을 적극 지원해왔다. 지난 3월 발표된 2021~2025년 경제계획에서 ‘디지털 발전 가속화와 디지털 중국 건설’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인민일보의 발표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으로 디지털 경제 핵심산업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8%에 달한다.
중국 정부의 주도로 디지털 전환이 진행되는 가운데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경제 부문은 핀테크 등 금융이다. 알리바바 등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전자 지급결제 관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해왔다. 중국 정부는 북경, 상해, 심천 등을 샌드박스 시범구역으로 지정하고 블록체인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신사업에 대한 규제를 유예하고 있다. 이런 영향에 전자지급결제가 중국내 전체 지급결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기준 56%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글로벌 혁신 핀테크 기업 순위에서도 중국의 앤트 그룹이 1위를 차지했는데, 앤트 그룹을 포함해 10위권 내에 중국 기업이 3곳이나 자리했다.
민간 기업 뿐만 아니라 중국 인민은행에서도 지난해부터 디지털 위안화 공개·비공개 테스트를 시행하는 등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도입에도 매우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중이다. 지난 2014년 인민은행 내 디지털화폐 및 블록체인 기술 연구팀 신설한 이후 꾸준히 연구한 끝에 올해 6월에는 디지털 위안화 공개 테스트도 진행했다.
한은은 이런 중국의 디지털 경제 발전이 새로운 인프라 투자, 소비시장 저변 확대 등 긍정적인 영향과 지역간 격차 확대 등 경제 불균형 심화와 같은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가져 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인공지능·5G 등 중국의 디지털관련 신인프라 투자규모는 총 9조~15조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바탕으로 원격의료 교육 등 온라인 기반 소비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수요 견인 성장(쌍순환) 동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온라인 플랫폼, 원격 교육 등 비대면 소비 시장 성장이 발라지면서 라이브커머스 등 새로운 온라인 시장도 커졌다. 이런 영향으로 디지털화가 신속히 진행될 경우 중국은 5%대의 성장경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제조업 등에서 양질의 일자리가 인공지능, 로봇 등으로 대체되면서 고용 안정성은 약해질 전망이다. 중국 플랫폼 노동자 비중은 2015년 6.5%에서 2018년 9.7%까지 빠르게 증가하면서 미국 등 주요국을 웃돈다. 대도시가 밀집한 동부 연안은 디지털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중서부 내륙지방은 1차산업 비중이 여전히 높아 지역간 격차도 심화됐다.
한은 관계자는 “중국의 디지털 경제 전환이 장단점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면서 “디지털화가 신속히 진행될 경우 5%대의 성장경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더딜 경우 저성장 기조에 조기 진입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