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설계자 ‘미란’…“환율협정 향후 논의될 가능성 있다”
by김상윤 기자
2025.04.05 07:29:26
“트럼프 최우선 과제는 관세”라고 밝혔지만…
월가 뒤흔든 향후 ‘마러라고 협정’ 가능성 시사
트럼프 관세 단기적 피해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의장은 4일(현지시간) 관세 인상으로 미국 경제가 단기적으로 입을 피해에 대해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관세에 대한 인식이 크게 오해되고 있다며, 미국 소비자들은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지를 갖고 있다고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에 이어 환율 조정 정책까지 나설 것이라는 질의에는 “현재는 관세가 중요하다”면서도 “향후 논의될 가능성은 있다”고 답했다.
|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사진=뉴욕맨하탄 연구소) |
|
그는 블룸버그 TV 프로그램 ‘밸런스 오브 파워’에 출연해 “관세로 인한 단기적인 고통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본다”며 “미국 소비자들은 유연하다. 선택지가 많고, 국내에서 생산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미란 의장은 오히려 타격을 입게 되는 쪽은 미국이 아닌 교역 상대국들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에 물건을 파는 나라들은 사실상 미국에만 의존하고 있어 경직돼 있다”며 “그래서 이들 국가가 관세 부담을 떠안게 되며, 이는 미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나 물가 상승으로 전가되는 수준이 매우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란 의장은 또 “미국 경제가 당면한 과제는 공공 부문에 대한 의존에서 민간 부문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지난 몇 년간 미국 고용 증가의 4분의 3은 정부 지출과 납세자 보조금에서 비롯됐고 이를 민간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경제가 다소 취약한 상태”라고 말했다.
미란 의장은 의장으로 지명되기 직전인 지난해 11월 ‘글로벌 무역시스템 재구성을 위한 사용자 가이드’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월스트리트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이 보고서에서 관세 정책 나아가 환율 정책을 통해 미국의 제조업을 되살릴 수 있는 방법을 설계했다.
그는 플라자 합의와 유사한 ‘마러라고(트럼프 대통령 사저) 합의’를 추진, 약달러를 유도하는 방안을 담았다. 외국이 보유한 달러 자산(10년 이하 만기)을 초장기국채(100년만기나 영구채)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이 먹히지 않을 경우 환율 조정에 나설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이 보고서와 관련해 그는 “대통령에게 여러 선택지를 제공한 레시피북에 불과하다”며 “최종적으로 요리를 할 셰프는 트럼프 대통령이고, 어떤 재료를 선택할지는 그가 결정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마러라고 협정이 내년 정책 옵션에 포함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는 “트럼프의 최우선 과제는 ‘관세’”라고 재차 강조하면서도 “향후 논의될 수 있는 사안이냐고 묻는다면, 가능성은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하면 환율이 조정되고, 이에 따라 수출입 경쟁력이 변해 계정이 균형을 찾는다는 전통적인 경제 모델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미란 의장은 “우리는 지속적으로 적자를 보고 있는데도 해당 모델이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그 모델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