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신수정 기자
2023.12.17 14:11:04
KDB미래전략연구소 ‘2024년 산업전망’ 보고서 전망
공사비 급증·고금리 등 영향에 수주 위축…실적 빨간불
착공·인허가 물량 급감…내년 하반기 침체기 진입 전망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 건설사들의 수주 곳간이 비어가고 있다. 늘어난 금융비용과 공사비 문제로 신규 수주에 나서지 못하면서다. 최근 건설경기의 흐름으로 봤을 때 내년 2분기 전후를 기점으로 침체기에 진입할 전망이다.
17일 한국산업은행 산하 KDB미래전략연구소가 발간한 12월 조사월보 ‘2024년 산업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건설 수주는 9월까지 누적 114조 5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주택 건축 수주금액은 39조 9000억원으로 42.3%, 민간 비주택 건축 수주금액은 31조 3000억원으로 42.9% 줄었다. 올 한해 국내 건설 수주금액은 지난해 대비 19.1% 줄어든 175조원 규모가 되리라 예상했다.
올해 1~9월 건축착공면적은 전년 대비 40.4% 줄었다. 과거 패턴을 보면 건축 착공면적이 감소하면 건설업체의 시공실적금액(건설기성)이 뒤따라 위축됐다는 점에서 건설기성은 내년 6% 내외로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현재 건설경기는 후퇴기인데 내년 2분기를 기점으로 침체기에 진입할 것이란 분석이다. 건설수주와 건설기성의 변화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지난해 같은 달 대비 증감률 추이를 살핀 결과 건설수주가 2023년 2월부터 9월까지 8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한 데 반해 건설 기성은 지난 2022년 1월부터 19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가 부진한 영향으로 앞으로 건설 기성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기성은 평균적으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12~15개월 지나면 감소한다.
건설 투자도 감소할 전망이다. 국민총생산(GDP) 대비 건설투자는 GDP의 1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건설기성의 위축은 건설투자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건설투자 감소는 일자리 감소를 뜻한다. 건설업은 전체 취업자수의 7.4%를 차지하고 있으며 취업 유발계소는 10.82로 국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건설기성이 단순 5% 줄어들면 GDP가 0.7%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시장 안팎에선 내년 경기 부양을 위해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가 더욱 필요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대형 토목사업의 경기부양 영향력이 클 수밖에 없어서다. 건설기업은 미분양 관리 강화와 사업 포트폴리오 수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건축사업 비중을 낮추고 공공토목과 민자사업, 해외건설 진출을 통해 사업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단기와 중장기 대응 전략을 수립해 경영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금리가 오르고 공사비용도 상승했기 때문에 건설사의 주택 수주가 갑자기 늘어나리라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신규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2∼3년간 이어지고 건설경기 침체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