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휴가·출장으로 '기동카' 사용액 남았다면…'환불' 가능

by함지현 기자
2024.10.20 13:29:51

본사업 이후 기후동행카드 환불 4만 1378건…전체 중 1.6%
충전금액에서 실제사용액·수수료 500원 제하고 돌려줘
시 "시민에 유리한 형태로 설계…환불 정책 지속 유지"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에서 강남까지 출·퇴근하는 직장인 임모씨는 6만 2000원권 기후동행카드를 활용해 이득을 보고 있다. 평일 출퇴근은 물론, 업무상 대중교통으로 시내를 오갈 일이 많아 한 달 평균 10만원 이상의 요금이 나왔지만 기후동행카드를 쓰면서 한 달에 4만원 가량의 혜택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추석 연휴와 연달아 사용한 휴가 등으로 인해 교통비가 평소에 비해 절반도 나오지 않았다. 이에 환불을 통해 남은 2만원 가량의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었다.

(사진=서울시)
서울시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가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사용하고 남은 금액은 환불받을 수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통상 ‘정액제’ 상품은 초과 금액에 대한 혜택을 보기 때문에 적게 사용한 부분에 대한 환급을 해주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시 측에서는 사업의 설계를 시민에 유리한 방향으로 한 만큼 이같은 환불 정책을 계속 유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기후동행카드 본사업을 시작한 지난 7월부터 10월 15일까지 30일권 기준 환불 건수는 4만 1378건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총 충전 건수가 250만 7378건이라는 점에 비춰보면 약 1.6% 가량이 환불을 받아간 셈이다.

월별로 살펴보면 충전 건수는 7월 69만 2877건, 8월 71만 2137건, 9월 73만 8955건, 10월(15일까지) 36만 3409건이다. 이 중 환불 숫자는 7월 1만 3173건(1.9%), 8월 1만 1522건(1.6%), 9월 1만 1078건(1.5%), 10월 5605건(1.54%)이다. 약 2% 수준에서 1.5% 비율로 다소 낮아진 모습이다.

환불을 신청하면 자신이 사용하는 카드충전금액에서 그동안 사용한 금액과 수수료 500원을 제한 나머지 금액이 환불된다. 예를 들어 6만 2000원권을 구매해 4만원을 사용했다면, 차액인 2만 2000원에서 수수료 500원을 제외한 2만 1500원이 환불되는 식이다.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회원가입과 카드 등록이 돼 있어야 하며, 사용 잔액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만료일 전 신청을 해야한다. 만약 국내 계좌가 없는 외국인이라면 티머니 본사를 방문해 현금으로 환불받을 수 있다.



시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환불 정책에 대한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더군다나 기후동행카드는 정액제인데 초과분에 대한 혜택은 주면서 이용하지 않은 부분을 돌려준다면 그만큼 예상했던 수익이 떨어지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그럼에도 시에서는 환불 정책은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당초 시작부터 교통복지 차원에서 시민에 유리하게 설계했기 때문이다. 또한, 전체 사용자 중 환불을 활용하는 사례는 극히 일부라는 점도 이유로 꼽는다.

일각에서는 기후동행카드가 국토교통부의 ‘케이(K)-패스’ 등과 경쟁하고 있는데다 승용차 이용자의 대중교통 전환이라는 목표 달성이 다소 주춤한 상황에서 일종의 ‘인센티브’로서 남겨두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연휴나 휴가, 출장 등 변수가 있더라도 손해를 보지 않을 수 있다는 심리적 효과로 인한 유입을 조금은 노려볼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고길곤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가 작성한 ‘교통비 지원 정책 국내외 사례 분석’ 보고서는 “서울시 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자의 관심을 높이는 데는 기여했으나 추가적인 대중교통 수요를 발생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며 “가용 예산 범위내에서 점진적으로 혜택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조정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적극적인 인센티브 제공 등을 방법으로 제시했다. 물론, 극히 일부가 활용하는 환불을 여기서 말하는 인센티브로 보기는 무리가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에 유리한 방향으로 설계하면서 갖춘 환불 정책을 중단할 계획은 없다”며 “환불 비율이 극히 낮다는 것은 구매 가격보다 적게 쓴 사람이 그만큼 없다는 뜻이다. 오히려 많은 사람들이 기후동행카드로 인한 혜택을 보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