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강민구 기자
2020.07.05 12:00:00
전 세계 우주개발 공공서 민간으로 전환 속도
정부, 10년간 한국형발사체 개발에만 약 2조원 투입
국내 산업체 역량 부족...시장 신중한 접근 필요성도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한국형발사체 후속사업이 최근 예비타당성 조사에 떨어져 본 발사 이후 계획이 없습니다. 지난 10여년 간 산업체와 함께 이뤄낸 기술력이 사라지고, 인재들이 이탈할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조상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보증팀장은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개발 진행상황을 설명하며 이같이 우려의 목소리를 전했다. 누리호 후속사업이 최근 예타에서 탈락한 것에 따른 것이다.
3일 한국과학기자협회가 주최한 ‘항공우주 사이언스미디어아카데미’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최근 민간 중심의 우주 개발 방식 변화 대응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부족한 산업체 역량 제고를 위해 다방면의 발사 수요를 확보하고 민간 중심 우주 개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의 우주개발은 그동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추진됐다. 한국형발사체 개발도 지난 2010년 3월부터 약 2조원을 투입하는 초대형 사업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해 진행해 왔다.
한국형발사체는 지난 2018년 시험비행을 마친 이후 올해 하반기 엔진 4기 묶음시험, 내년 2차례 본 발사를 앞두고 있다. 누리호 발사가 성공하면 한국은 1.5톤급 저궤도 실용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릴 수송능력을 입증하게 된다.
조 팀장은 “올해 하반기엔 처음으로 75톤급 엔진 4기를 묶어 한국형발사체 1단부를 검증할 계획”이라면서 “앞으로 추진기관 종합 시험, 비행모델 조립, 발사대 검증 작업 등을 마무리해 내년 2회 발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