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세종대왕 뜻 되새겨 곱고 가지런한 말과 글 늘려야"

by이진철 기자
2019.10.09 11:39:22

제573돌 한글날 경축식 참석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 남북 다시 마음 모아야"

이낙연 국무총리가 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573돌 한글날 경축식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이낙연 국무총리는 9일 “우리 사회에는 거칠고 어지러운 말과 글을 쓰는 일이 늘어난다”면서 “곱고 가지런한 말과 글을 쓰자는 운동이 끊이지 않지만,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제573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오늘 우리는 세종대왕의 뜻을 다시 새겨야 한다. 거칠고 어지러운 말과 글을 줄이면서, 곱고 가지런한 말과 글을 늘리도록 언론, 학교, 정부가 더 노력하기를 제안드린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총리는 “573년 전 오늘 세종대왕께서는 백성이 쉽게 익혀 편하게 쓰도록 한글을 만들어 펴내 주셨다”면서 “한글은 새로운 세상을 우리 겨레에게 열어주었고, 세종대왕님의 뜻은 이루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매우 높은 문자해독률과 교육수준을 자랑하는 것은 쉬운 한글과 뜨거운 교육열이 어우러진 결과”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 바탕이 있었기에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루었다”면서 “우리가 IT 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데도 컴퓨터에 적합한 한글의 과학적 구조가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세계에는 약 3000개 민족이 7000개 언어를 쓰며 산다고 한다”면서 “그러나 지금 인류가 쓰는 글자는 스물여덟 가지만 남았다. 그 가운데 누가, 언제, 어떻게, 왜 만들었는지가 확실한 글자는 한글뿐”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글의 탄생과정을 기록한 훈민정음해례본을 유네스코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한 것은 정당한 평가였다”고 덧붙였다.

이 총리는 “지금 세계에는 한글을 배우는 사람이 늘어난다”고 말했다. 한국어능력시험 응시자가 1997년에는 4개 나라, 2692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76개 나라, 32만9224명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외에서 한글을 가르치는 세종학당도 2007년의 3개 나라, 13곳에서 올해는 60개 나라, 180곳으로 바뀌었고, 세종학당은 지난해 6만여 명의 교육생을 배출했다는 것이다.



이 총리는 “한글 배우기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데는 우리 경제의 힘과 대중문화의 매력도 큰 몫을 하고 있다”는 언급도 했다.

이 총리는 “요즘 우리에게는 세종대왕께 부끄러운 일이 생기고 있다”는 지적도 했다. 그는 “조국분단 70년은 남북의 말까지 다르게 만들고 있다”면서 “‘겨레말 큰사전’을 남북이 함께 편찬하기로 2005년에 합의했지만, 진행이 원활하지 않다.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위해 남북이 다시 마음을 모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선조들께서 한글을 지키고 가꾸려고 흘리신 피와 눈물과 땀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을 줄여야겠다. 전문용어도 쉬운 우리말로 바꿔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총리는 “정부는 우리말과 한글을 세계에 더 확산하기 위해 세종학당을 2022년까지 220곳으로 늘리려 한다”면서 “외국 대학의 한국어 학과와 해외 파견 한국어 교원도 늘리겠다”는 계획도 소개했다.

이 총리는 “주시경 선생께서는 말을 통해 사람들이 한 덩이가 되고, 그 덩이가 점점 늘어 나라를 이룬다고 말씀하셨다”면서 “또한 말이 오르면 나라도 오르고, 말이 내리면 나라도 내린다고 지적하셨다”고 언급했다. 이어 “주시경 선생의 말씀을 새기자”면서 “온 겨레가 한글로 한 덩이가 되도록 더 노력하자. 말이 오르고, 나라도 오르도록 함께 애쓰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