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전문가 10명 중 8명 "비수도권 집값 더 떨어진다"

by조진영 기자
2019.01.13 12:00:00

KDI 경제동향, 4분기 부동산 전문가 100명 설문
"서울집값 상승률 높다" 47.6%..3분기(90.2%) 절반
"비수도권 집값 상승률 낮아..매매가 더 낮아질 것"

서울 송파구의 부동산 중개사무소. 연합뉴스 제공
[세종=이데일리 조진영 기자] 부동산시장 전문가 10명 중 3명은 1년 뒤 서울지역 주택 가격이 소폭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비수도권의 경우 10명 중 8명이 하락을 예상했다.

KDI는 13일 펴낸 ‘KDI 경제동향’ 1월호에서 지난해 4분기 부동산시장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달 17일부터 19일까지 학계, 연구원, 금융기관, 건설사 등 전문가 1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응답자들은 서울의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이 여전히 높다고 평가하고 있었지만 그 정도는 3분기에 비해 다소 완화됐다. 서울의 매매가격 상승률에 대해 ‘높음’ 또는 ‘매우 높음’으로 응답한 비중은 47.6%를 기록했다. 3분기(90.2%)의 절반 수준이다. 반면 적정하다는 응답비중은 33.0%로 3분기(7.8%)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



1년 후 주택매매가격에 대해서는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하락할 것으로 보는 응답비중이 3분기보다 높아졌다. ‘현재와 비슷’이라는 응답은 31.1%로 3분기(26.5%)보다 상승했다. 소폭 하락(-2.5~0%)이라는 응답은 28.2%)로 3분기(18.6%)보다 상승했다. 전문가들이 서울의 주택가격에 대해 ‘정점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대로 비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에 대해서는 ‘낮다’(낮음 또는 매우낮음)는 평가가 67.0%를 기록했다. 3분기(52.9%)보다 비중이 늘었다.

1년 후 매매가격에 대해서도 하락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79.6%를 차지해 3분기(51.0%)보다 크게 상승했다.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상승할 것이라 응답한 비중은 3분기(49.0%)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20.4%를 기록했다.